반응형

자산유동화 4

21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트리핀 딜레마(Triffin's dilemma)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 : 1993년 81세를 일기로 사망) 예일대 교수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심각해진 1960년, 기축통화의 구조적 모순을 트리핀 딜레마라는 용어로 설명함 그는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 체제가 기축통화(key currency)라는 내적 모순을 안고 있다고 진단 브레튼우즈 체제 : 기존의 금 대신 미국 달러화를 국제결제에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금 1온스의 가격을 35달러로 고정해 태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국가의 통화는 조정 가능한 환율로 달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든 것 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

20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카르텔(cartel) 동종 혹은 유사 산업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이 상호 간의 경쟁을 제한하고 완화함으로써 시장을 지배할 목적으로 결성한 기업 연합체 카르텔에 속한 기업들은 협약을 맺고 가격 책정, 생산량 할당 등에 대해 개별 기업 간의 행동을 조정할 기구를 만들고 이를 통해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함 이럴 경우 카르텔에 속한 기업들은 서로 경쟁할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음 카르텔은 공급자들이 소수인 과점기업들 사이에 주로 형성 카르텔은 경제의 비효율성 초래, 경제발전 저해 등과 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폐해가 크므로 일반적으로 금지 및 규제의 대상임 대표적인 국제규모의 카르텔 : 중동 산유국이 주축이 된 석유수출국기구(OPEC :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

17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정책시차(policy lag) 어떤 경제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원인이 발생하여 동 정책을 수립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과 아울러 수립된 정책이 실제로 집행되어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데 걸리는 시간 전자를 내부시차(inside lag)라 하고 후자를 외부시차(outside lag)라고 함 일반적으로 재정정책은 정책이 수립되기까지의 내부시차가 긴 반면,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데 걸리는 외부시차는 짧음 이유는 정부지출이나 조세제도를 변경하려면 시간이 걸리는 입법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일단 정책이 수립되고 나면 총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 통화정책의 경우는 재정정책과는 달리 내부시차는 짧지만, 생산, 물가 등 실물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등 외부시차가 상대적으로 긺 예컨대 통화..

4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금융안정지수 금융안정 상황을 나타내는 금융 및 실물 6개 부문의 20개 월별 지표를 표준화하여 산출한 지수 금융 및 실물 6개 부문 은행 금융시장 대외 실물경제 가계 기업 금융안정지수는 0(안정)에서 100(불안) 사이의 값을 가짐 금융안정 상황 구분 정상 단계 주의 단계 : 대내외 충격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심각하지 않은 경우 위기 단계 : 대내외 충격이 우리나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 연관검색어 : 금융안정 2. 금융연관비율(골드스미스비율 financial interrelations ratio) 한 나라의 금융자산 잔액을 유형자산(실물자산 또는 국부 = 유형자산 + 순 대외자산) 잔액으로 나눈 비율 골드스미스(R. W. Goldsmith)가 사용하기 시작 실물면의 자본축적 잔액에 대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