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요/경제금융용어 700선

17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luvDo 2022. 6. 5. 19:26

1. 정책시차(policy lag)

 

 

어떤 경제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원인이 발생하여 동 정책을 수립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아울러 수립된 정책이 실제로 집행되어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데 걸리는 시간

 

 

 

전자를 내부시차(inside lag)라 하고 후자를 외부시차(outside lag)라고 함

 

 

 

일반적으로 재정정책은 정책이 수립되기까지의 내부시차가 긴 반면,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데 걸리는 외부시차는 짧음

  • 이유는 정부지출이나 조세제도를 변경하려면 시간이 걸리는 입법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일단 정책이 수립되고 나면 총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

 

 

 

통화정책의 경우는 재정정책과는 달리 내부시차는 짧지만, 생산, 물가 등 실물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등 외부시차가 상대적으로 긺

  • 예컨대 통화정책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되고 그것이 금융 및 외환시장과 자본시장을 거쳐 실물부문의 가계의 소비나 기업의 투자 등으로 파급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음
  • 시차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지만 2005~14년에 개발된 거시금융모형들을 활용하여 미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통화정책의 효과가 실물생산에는 3분기 내외에서 최고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2000~2012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실물생산에 대한 영향은 6분기 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은 8분기 후에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됨
  • 통화정책의 파급시차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과거의 평균적 경험에 근거한 것으로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재정정책

 


 

2. 정크본드(junk bond)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한 고수익 ・ 고위험 채권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이어서 원리금 상환 불이행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일반 채권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한 이자를 지급함

 

 

미국의 경우 회사채는 만기 10~30년의 장기채 발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신용등급이 높은 우량기업 발행채권이 대부분을 차지함

 

 

 

1970년대 중반 이후 기업의 매수 합병 및 구조조정 과정에서 다수의 기업들이 경영 악화와 부채 증가 등으로 투자부적격 등급으로 하락하면서 정크본드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함

 

 

 

우리나라의 정크본드 시장은 자산유동화증권(ABS : Asset-Backed Securities)과 관련이 있음

  • ABS를 설계할 때 신용보강을 위해 위험요소가 경감될 수 있도록 원리금 지급 우선순위에서 선순위와 후순위로 차등을 둠
  • 이 때 선순위채는 기초자산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이 부족할 경우 후순위채보다 원리금을 우선적으로 지급받게 되며, 일반적으로 후순위채는 정크본드시장에서 소화시키거나 자산보유자가 직접 인수하게 됨

 

 

 

 

▷ 연관검색어 : 자산유동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