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레튼우즈체제 4

21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트리핀 딜레마(Triffin's dilemma)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 : 1993년 81세를 일기로 사망) 예일대 교수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심각해진 1960년, 기축통화의 구조적 모순을 트리핀 딜레마라는 용어로 설명함 그는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 체제가 기축통화(key currency)라는 내적 모순을 안고 있다고 진단 브레튼우즈 체제 : 기존의 금 대신 미국 달러화를 국제결제에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금 1온스의 가격을 35달러로 고정해 태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국가의 통화는 조정 가능한 환율로 달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든 것 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

14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유동성(liquidity)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냄 유동성의 종류 - 자산의 유동성 화폐의 유동성 : 화폐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되는 정도 화폐를 제외한 자산의 유동성 - 경제주체의 유동성 자산의 유동성 화폐 이외의 자산을 화폐로 전환한 후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하는 정도 전환 대상 자산의 양과 질, 시장의 형성, 거래 방법, 재금융의 가능성 등에 따라 유동성의 정도가 달라짐 경제주체의 유동성 각 경제주체가 채무를 충당할 수 있는 능력 유동성 개념은 위와 같은 본래의 의미로부터 파생되어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도 사용 첫째 유동성은 시중의 현금과 다양한 금융상품 중 어디까지를 통화로 정의..

9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불태화정책(sterilization policy) 수출입거래나 국경 간 자본유출입 거래는 국내은행을 통해 국내통화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국내통화량이 변동 - 통화량의 변동은 금리와 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불태화정책 해외부문으로부터의 외화유입으로 인해 본원통화가 증가하고 그 결과로 금리나 물가가 중앙은행이 목표한 바와 다르게 변동할 우려가 발생할 경우, 중앙은행이 공개시장 조작이나 지급준비율 조정 등을 통해 본원통화의 증가를 상쇄시키는 정책 불태화정책의 수단은 일반 통화정책과 같지만 그 목적이 해외부문에서 비롯된 통화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 다름 불태화정책은 중앙은행 등의 외환시장 개입과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음 중앙은행이 환율 안정을 위해 외환시장에서 외환을 매입할 ..

7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뮤추얼펀드 투자자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 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등에 투자한 후 그 운용수익을 투자자 즉 주주들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나누어주는 투자신탁의 하나 투자자는 유가증권을 자신이 직접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간접 투자방식 제도적 분류 회사형 계약형 주요 투자대상에 따른 분류 단기금융시장 채권형(또는 고정수입) 주식형(또는 순자산) 혼합형(하이브리드) 등 미국의 경우 뮤추얼펀드 이전의 간접투자 제도 1868년 투자조합 형태로 설립된 Foreign Colonial Government Trust가 최초 1924년 신탁 형태로 보스턴에 설립된 Massachusetts Investors Trust 1940년 투자회사법(Investment Company Act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