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LS은행 3

23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CLS은행 외환결제리스크 감축에 관한 국제결제은행(BIS)의 권고에 따라 1999년 주요 국제 상업은행들이 세계 외환거래의 동시결제를 구현할 목적으로 설립한 국제외환결제전문은행 CLS은행이 운영하는 CLS시스템을 이용하여 외환거래를 결제하면 각 통화별 중앙은행에 개설된 CLS은행 계좌를 통해 양 거래통화의 동시결제(PVP)가 이루어지므로 원금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으며 다자간상계에 따른 결제유동성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음 스위스 취리히에 소재한 CLS그룹지주회사(CLS Group Holdings)의 자회사 1999년 11월 미국 뉴욕에 설립 2017년 말 현재 전 세계 67개 결제회원은행과 약 24,000개의 제삼자 고객을 대상으로 원화 등 총 18개 주요국 통화간 외환거래 등에 대해 결제 서비스를..

14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외환동시결제(PVP : Payment versus Payment) 외환결제과정에서 국가 간 결제시간 대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외환결제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환거래에 따른 수취통화와 지급통화를 동시에 주고받는 결제방식 대표적으로 CLS은행이 이러한 방식의 외환결제서비스를 제공 외환동시결제방식은 매수통화의 수취가 보장되는 경우에만 매도통화를 지급하기 때문에 거래당사자 일방이 파산 등의 이유로 매도통화를 지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매입통화의 지급도 일어나지 않아 외환결제리스크를 감축 ▷ 연관검색어 : 외환결제리스크, Herstatt 리스크, CLS은행 2. 외환보유액(Official Reserve Assets) 외환보유액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

13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외화자금시장 외환시장 : 이종통화 간 매매가 수반되고 환율이 매개변수가 되는 시장 외화자금시장 : 금리를 매개변수로 하여 외환의 대출과 차입이 이루어지는 시장 스왑(외환스왑 및 통화스왑) 시장 - 대표적인 외화자금시장 스왑 거래의 경우 외환의 매매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금리를 매개로 하여 여유 통화를 담보로 필요 통화를 차입한다는 점에서 대차거래라고 볼 수 있음 은행 간에 초단기로 외화의 차입 및 대여가 이루어지는 외화 콜 시장 1년 물 이내의 기간 물 대차거래가 이루어지는 단기대차시장 등 은행 간 외화예치거래도 넓은 의미에서 외화자금시장으로 볼 수 있으나 런던이나 싱가포르와 같은 국제중심지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외화예치거래가 활발하지 않음 외화자금시장도 넓은 의미에서는 외환시장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