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리핀 딜레마(Triffin's dilemma) 2

21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트리핀 딜레마(Triffin's dilemma)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 : 1993년 81세를 일기로 사망) 예일대 교수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심각해진 1960년, 기축통화의 구조적 모순을 트리핀 딜레마라는 용어로 설명함 그는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 체제가 기축통화(key currency)라는 내적 모순을 안고 있다고 진단 브레튼우즈 체제 : 기존의 금 대신 미국 달러화를 국제결제에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금 1온스의 가격을 35달러로 고정해 태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국가의 통화는 조정 가능한 환율로 달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든 것 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

14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유동성(liquidity)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냄 유동성의 종류 - 자산의 유동성 화폐의 유동성 : 화폐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되는 정도 화폐를 제외한 자산의 유동성 - 경제주체의 유동성 자산의 유동성 화폐 이외의 자산을 화폐로 전환한 후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하는 정도 전환 대상 자산의 양과 질, 시장의 형성, 거래 방법, 재금융의 가능성 등에 따라 유동성의 정도가 달라짐 경제주체의 유동성 각 경제주체가 채무를 충당할 수 있는 능력 유동성 개념은 위와 같은 본래의 의미로부터 파생되어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도 사용 첫째 유동성은 시중의 현금과 다양한 금융상품 중 어디까지를 통화로 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