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지표 2

21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통화정책수단 중앙은행이 활용하고 있는 통화정책수단 지급준비제도 :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금융기관 부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로,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주므로 지급준비정책은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단이 됨 공개시장운영 : 중앙은행이 단기금융시장이나 채권시장과 같은 공개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공채 등 증권을 매매하여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통화나 금리를 조절하는 정책수단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 중앙은행이 금융기관과의 대출 및 예금거래를 통해 자금의 수급을 조절하는 정책수단 통화정책수단은 시장 친화적 정책수단이라고 할 수 있음 일부 중앙은행의 경우 정책당국에 부여된 행정적..

14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유동성(liquidity)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냄 유동성의 종류 - 자산의 유동성 화폐의 유동성 : 화폐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되는 정도 화폐를 제외한 자산의 유동성 - 경제주체의 유동성 자산의 유동성 화폐 이외의 자산을 화폐로 전환한 후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하는 정도 전환 대상 자산의 양과 질, 시장의 형성, 거래 방법, 재금융의 가능성 등에 따라 유동성의 정도가 달라짐 경제주체의 유동성 각 경제주체가 채무를 충당할 수 있는 능력 유동성 개념은 위와 같은 본래의 의미로부터 파생되어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도 사용 첫째 유동성은 시중의 현금과 다양한 금융상품 중 어디까지를 통화로 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