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정책수단 4

23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EC방식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수단을 사용하여 금리나 통화량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물가안정, 금융안정 등을 달성함으로써 경제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함 통화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금리와 통화량 가운데 어느 것을 보다 중시할 지에 대해서는 시대에 따라 변해옴 보다 긴 시각에서 본다면 중앙은행은 대체로 가격지표인 금리를 중시한 통화정책을 수행해왔다고 평가됨 지난 1970년대 석유파동 등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는 가운데 각국은 물가안정을 위해 양적인 지표인 통화량을 보다 중시하고 통화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한 바 음 EC방식이란 1972년 EC(European Community)에서 각 회원국에 채택할 것을 권고한 적정 통화공급규모 산정방식 이론적으로는 통화와 실물경제..

21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통화정책수단 중앙은행이 활용하고 있는 통화정책수단 지급준비제도 :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금융기관 부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로,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주므로 지급준비정책은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단이 됨 공개시장운영 : 중앙은행이 단기금융시장이나 채권시장과 같은 공개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공채 등 증권을 매매하여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통화나 금리를 조절하는 정책수단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 중앙은행이 금융기관과의 대출 및 예금거래를 통해 자금의 수급을 조절하는 정책수단 통화정책수단은 시장 친화적 정책수단이라고 할 수 있음 일부 중앙은행의 경우 정책당국에 부여된 행정적..

1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채무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 지급준비금 : 은행이 예금고객의 지급 요구에 응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놓은 유동성 자산 지급준비율 : 적립대상 채무 대비 지급준비금의 비율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있는 자금(지준예치금)과 보유하고 있는 현금(시재금)으로 구성됨 지급준비제도는 1863년 미국에서 예금자보호를 위해 법정지급준비금을 부과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음 1930년대 들어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급준비제도는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단으로 그 위상이 높아짐 1980년대 이후 금융..

1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공개시장운영(open market operation)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공채 등 증권을 매매하여 시중 유동성이나 시장금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 수단 다른 통화정책수단(지급준비제도, 여수신제도 등)에 비해 시기와 규모를 신축적으로 정할 수 있고 금융시장의 가격 메커니즘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시장 친화적 즉각적인 매매거래만으로 신속하게 정책을 시행할 수 있음 대부분의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공개시장운영을 주된 통화정책수단으로 사용 우리나라 : 한국은행은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지준)보유 규모를 변동시킴으로써 콜금리가 기준금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 금융기관의 지준 부족(보유지준 < 필요지준)으로 콜머니가 증가하고 콜금리 상습 압력이 증대될 경우 한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