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요/경제금융용어 700선

23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luvDo 2022. 8. 3. 11:30

1. EC방식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수단을 사용하여 금리나 통화량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물가안정, 금융안정 등을 달성함으로써 경제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함

 

 

통화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금리와 통화량 가운데 어느 것을 보다 중시할 지에 대해서는 시대에 따라 변해옴

 

 

보다 긴 시각에서 본다면 중앙은행은 대체로 가격지표인 금리를 중시한 통화정책을 수행해왔다고 평가됨

 

 

지난 1970년대 석유파동 등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는 가운데 각국은 물가안정을 위해 양적인 지표인 통화량을 보다 중시하고 통화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한 바 음

 

 

 

EC방식이란 1972년 EC(European Community)에서 각 회원국에 채택할 것을 권고한 적정 통화공급규모 산정방식

 

 

이론적으로는 통화와 실물경제 간의 일반적 균형 조건을 나타내는 Fisher의 교환 방정식 즉 MV=PY에 근거를 둠

  • M : 통화공급량
  • V : 통화유통속도(V=PY/M)
  • P : 물가 수준
  • Y : 총거래량 또는 실질국민총생산

 

 

이 방정식을 미분 개념(변화율)으로 바꾸어 표시하면 다음과 같음

  • dM/M = dY/Y + dP/P - dV/V
  • 이 방식에 의하면 적정 통화증가율은 경제성장률에 물가상승률을 더하고 통화의 유통속도 변동률을 차감하여 산정
  • 예를 들어 경제성장률이 3%, 물가상승률이 1%, 통화의 유통속도 변동률이 -5%라고 추정된다면 적정 통화증가율은 9% [=3%+1% -(-5%)]가 됨.

 

 

 

 

▷ 연관검색어 : 통화유통속도

 


 

2. FTSE 지수

 

 

영국의 FTSE 인터내셔널사가 작성,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를 말하며 ‘FT 지수’라고도 함

 

 

 

전 세계를 대상으로 투자하는 대형 펀드, 주로 유럽계 펀드의 운용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투자 지표이며 미국의 MSCI 지수와 더불어 세계 양대 투자지표로 꼽힘

 

 

FTSE 인터내셔널사

  •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지(FT)와 런던증권거래소(LSE)가 공동으로 설립한 회사로 FTSE 지수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사업을 수행한
  • 매일 증권, 채권 관련 지수를 산출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런던국제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00개의 우량주식으로 구성된 ‘FTSE 100 지수’, 첨단기술주 중심의 ‘FTSE 테크 마크’, 세계 주요국 우량주식을 포괄한 ‘FTSE 올월드인덱스’ 등이 많이 사용됨

 

 

 

FTSE 올월드인덱스는 선진시장, 선진 신흥시장, 신흥시장의 3개 그룹으로 구성되며 우리나라는 2009년 9월 선진 신흥시장에서 선진시장으로 편입됨

 

 

 

 

▷ 연관검색어 : MSCI 지수

 


 

3. G2(Group of Two)

 

 

세계에서 경제적으로 영향력이 큰 두 국가라는 의미로서 미국중국을 가리키는 비공식적인 용어

 

 

 

G2라는 용어는 2000년대 들어 중국이 급속한 경제발전을 토대로 국제사회에서 경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지면서 2006년경 처음 등장

 

 

 

특히 2009년 G20 정상회의 기간 중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만나 관계를 강화하기로 합의한 이후 빈번히 사용됨

 

 

 

중국이 미국에 버금가는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만큼 기존의 초강대국인 미국과 더불어 글로벌 리더로서 경제위기 ・ 중동사태 ・ 기후변화 ・ 핵확산 등 각종 국제문제의 해결에 앞장서야 하는 시대가 왔음을 의미하기도 함

 

 

 

중국 내에서는 중국에게 능력 이상의 책임을 지우는 빌미가 될 수 있다고 경계하는 견해도 있음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는 국제적인 회의체는 아니라는 점에서 G7, G20과는 차이가 있음

 

 

 

 

▷ 연관검색어 : G7(Group of Seven), G20(Group of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