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안정증권 3

20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통화안정계정 금융시장 유동성 조절을 위한 일종의 기한부 예금(term deposit) 통화안정계정은 국외부문 등으로부터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강제예치방식으로 활용되다가 1990년대 이후 금융시장의 발달, 환매조건부증권매매(RP) 등 시장친화적인 공개시장운영수단의 정착 등으로 그 활용도가 낮아짐 한국은행은 RP매각에 필요한 보유증권의 한계, 통화안정증권 발행 누증에 따른 부작용(이자부담 증가, 시장 수요 제한 등) 등으로 보다 효과적인 유동성 관리를 위하여 기한부 예금인 시장친화적인 통화안정계정을 2010년 10월 도입 통화안정계정의 특징 장점 : 담보 없이도 단기 유동성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 단점 : 중도해지, 제삼자에 대한 양도 및 담보제공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안정증권에 비해..

18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지급수단(payment instruments) 지급수단의 구분 현금 현금 이외의 지급수단 : 금융기관을 거쳐 현금화할 수 있는 지급수단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계좌이체, 지급카드, 어음이나 수표 등이 포함됨 지급수단은 지급결제 과정에서 종이로 제작된 지급수단인 장표가 실제로 이동하는지 여부에 따라 장표방식 지급수단과 전자방식 지급수단으로 구분할 수도 있음 장표방식 지급수단 : 어음, 수표, 지로 등 전자방식 지급수단 :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의 지급카드와 계좌이체 등 최근에는 지급서비스 제공 방식이 다양화되면서 전통적인 지급수단 분류방식 대신 인터넷뱅킹, 모바일 지급카드 등 접근 채널별로 분류하기도 함 특정 지급수단의 수용성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급수단 자체의 특성 및 지급서비스 제공기관의 신뢰도뿐..

5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단일금리방식(dutch)/복수금리방식(conventional) 경쟁입찰에 따른 발행금리 결정방식 1. 복수금리(가격)방식 각 낙찰자가 입찰 시 제시한 금리(가격)를 발행금리(발행 가격)로 하는 방식 유동성 지원 시에는 금융기관의 입찰 독려를 위해 유인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수금리결정방식을 적용 공개시장조작의 하나로 운용하고 있는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시에 주로 사용 2. 단일금리(단일가격)방식 각 낙찰자가 입찰 시 제시한 금리(가격) 중 최고금리(최저가격)를 발행금리(발행가격)로 하는 방식 유동성 흡수 시에는 금융기관의 자금운영을 제약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금융기관에 유리하게 단일금리방식을 적용 현재 통화안정증권 발행 시 입찰 시행 전에 발행금리 결정방식을 공고하고 있으며 입찰참가자에게 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