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급수단 6

22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환매조건부매매 / RP / Repo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동일한 증권을 반대방향으로 매수 및 매도할 것을 약정하고 이루어지는 증권의 매매거래 법적으로 RP거래는 약정기간 동안 대상증권의 소유권이 RP매도자에서 RP매수자로 이전되는 증권의 매매거래이지만 경제적 실질 측면에서 보면 RP매도자가 RP매수자에게 증권을 담보로 제공하고 자금을 차입하는 증권담보부 소비대차의 성격을 지님 우리나라 RP거래 구분 대고객 RP : 거래 주체를 기준으로 금융기관과 일반 고객 간에 이루어짐 기관 간 RP : 금융기관 간에 이루어짐 한국은행 RP :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운영 수단으로써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이루어짐 ▷ 연관검색어 : 공개시장운영 2. 환어음 발행인이 직접 어음금액을 지급하지 아니하고 제삼자..

18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직불카드(debit card) 카드 소지인(고객)이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우 동 카드를 이용하여 판매점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카드 발급은행의 주전산기를 통하여 고객의 예금계좌에서 구매대금을 인출하고 이를 판매자의 예금계좌로 자동 이체해 주는 용도로 사용되는 카드 직불카드는 백화점, 슈퍼마켓 등 판매점에서 물품 판매와 동시에 고객의 계좌에서 대금이 이체되어 현금을 지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EFT/POS (Electronic Funds Transfer at the Point of Sales) 카드라고도 부름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2월부터 본격 가동되기 시작한 직불카드 공동망을 통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 연관검색어 : 지급수단, 직불카드공동망 2. 직불카드공동망 직불카드..

18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지급수단(payment instruments) 지급수단의 구분 현금 현금 이외의 지급수단 : 금융기관을 거쳐 현금화할 수 있는 지급수단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계좌이체, 지급카드, 어음이나 수표 등이 포함됨 지급수단은 지급결제 과정에서 종이로 제작된 지급수단인 장표가 실제로 이동하는지 여부에 따라 장표방식 지급수단과 전자방식 지급수단으로 구분할 수도 있음 장표방식 지급수단 : 어음, 수표, 지로 등 전자방식 지급수단 :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의 지급카드와 계좌이체 등 최근에는 지급서비스 제공 방식이 다양화되면서 전통적인 지급수단 분류방식 대신 인터넷뱅킹, 모바일 지급카드 등 접근 채널별로 분류하기도 함 특정 지급수단의 수용성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급수단 자체의 특성 및 지급서비스 제공기관의 신뢰도뿐..

18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지급결제 및 시장인프라 위원회(BIS CPMI) 국제결제은행(BIS)의 「지급 및 시장인프라 위원회」 (CPMI : Committee on Payments and Market Infrastructures)는 1990년 설립된 「지급결제제도위원회」(CPSS : Committee on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의 명칭을 2014년 9월 1일부터 변경한 것 처음에는 주요국의 지급결제제도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기 위해 설립됨 현재는 「금융시장인프라에 관한 원칙」 등 국제기준 제정 및 이행상황 모니터링, 금융시장인프라 감시와 관련한 정책 개발 및 제안 주도, 중앙은행 간 협력 증진 및 정보교환 촉진 등의 기능을 수행 2017년 말 현재 CPMI에는 23개국 중앙은행이 참여 ..

17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전자상거래(EC : Electronic Commerce) 인터넷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광고, 발주, 수주 등의 상거래 및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것 전자상거래는 초기에 기업 간 거래가 대부분이었으나 인터넷의 보급 확산에 따라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물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쇼핑 등이 많이 증가함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고 유통비용 등 부대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실물거래에서부터 교육 ・ 의료 ・ 금융서비스 분야 등으로 급속도로 확산됨 결제수단으로는 신용카드, 은행의 계좌 간 자금이체, 전자화폐 등이 이용 세계 각국은 전자상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VISA ・ Master Card 등에서 전자..

10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선물환거래 계약일로부터 통상 2 영업일 경과 후 특정일에 외환의 인수도와 결제가 이루어지는 거래 현재 시점에서 약정한 가격으로 미래 시점에 결제하게 되므로 선물환계약을 체결하면 약정된 결제일까지 매매 쌍방의 결제가 이연된다는 점에서 현물환거래와 구별 선물환거래는 주로 환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 예를 들어 6개월 이후에 달러로 대금을 수령할 예정인 수출 기업은 은행과 6개월 후 달러를 매각하는 대신 원화를 수령하는 선물환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원/달러 환율변동에 따른 환리스크를 헤지(hedge)할 수 있음 이외에도 선물환거래는 금리차익(arbitrage) 획득과 투기적 목적 등으로도 이용 선물환거래의 구분 - Outright Forward 거래 : 일방적인 선물환 매입 또는 매도 거래만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