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증권대금동시결제(DVP) 2

18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증권결제리스크 매매대상 증권의 인도와 대금지급이 예정대로 이행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손실 가능성 증권결제리스크의 구분 원금리스크 : 증권매도자가 증권을 인도했지만 매수자가 대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증권매수자가 대금을 지급했지만 증권을 인도받지 못한 경우 대체비용리스크 : 매매계약 체결 후 거래 당사자 일방이 계약을 취소하여 원래의 거래를 다른 계약으로 대체할 때 유동성리스크 : 증권거래가 발생한 후 거래당사자 일방이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으로 예정된 시간에 결제를 하지 못할 때 증권결제는 자금결제와 달리 대금과 증권의 상호이전을 전제로 하며 리스크 발생 대부분은 주로 결제일에 증권인도와 대금지급 과정에 발생 증권인도와 대금지급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결제(free of payment) 방식은 매..

9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부채비율 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 타인자본(부채)과 자기자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안전성 지표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 부채비율은 자기자본비율과 역(逆)의 관계 - 자기자본비율이 높을수록 부채비율은 낮아지게 됨 타인자본 : 차입금, 회사채, 매입채무, 미지급금, 부채성충당금 등의 부채 유동부채 : 1년 이내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부채 비유동부채 : 1년 이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부채 경영자 입장에서는 단기채무 상환의 압박을 받지 않고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는 한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 채권회수의 안전성을 중시하는 채권자는 부정적일 수 있는데 기업의 부채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추가로 부채를 조달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과다한 이자비용의 지급으로 수익성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