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질임금 2

12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실업률갭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 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휴자원을 파악할 때 유용 실업률갭이 양(+)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냄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 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음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은행의 경우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을 통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평가하거나, 통화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해소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다만 중앙은행이 실업률갭만을 ..

7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명목금리 / 실질금리 금리는 돈의 가치 즉 물가변동을 고려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로 구분 명목금리 : 돈의 가치 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로 표현된 표면상의 금리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리를 의미 예컨대 금년 중 1년 만기 정기예금의 명목금리가 3%이고 물가상승률이 1% 일 경우 명목금리 : 3% 실질금리 : 2%(3% - 1%) 피셔효과(Fisher) 금리와 물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인데, 금융거래 시 명목금리는 실질금리에 예상 물가상승률을 더해서 결정되는 것 예를 들어 통화정책으로 금리를 조정할 때 시장참가자들은 미래의 인플레이션율을 합리적으로 예상하여 실질금리에 덧붙이는 형태로 금리를 결정한다면 실질금리는 변하지 않게 되고 결국 명목금리만 조정 경험적으로 197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