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6

21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평가절하(devaluation) 환율 : 일반적으로 거래 대상물인 외국환(외국통화) 한 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통화의 양 원화절하는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외환의 가치가 상승하고 원화의 가치는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때 환율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환율 상승 또는 평가절하라고도 말함 평가절상(revaluation)이나 평가절하, 또는 절상(appreciation)이나 절하(depreciation)의 의미는 일반적으로는 고정환율제도와 자유변동환율제도중 어느 환율제도를 채택하느냐에 따라 구분 평가절상(또는 평가절하) : 고정환율제도하에서 정부가 정책적 목적 등으로 자국 통화의 대외가치인 환율을 인위적으로 일시에 조정하였을 경우 사용 절상(또는 절하) : 일반적으로 자유변동환율제도..

21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페더럴펀드(federal funds) 미 연방준비은행에 지급준비금 예치의무가 있는 예금은행이 지급준비금 과부족을 조절하기 위해 여타 예금은행, 정부보증기관(government-sponsored enterprises) 등으로부터 무담보로 차입한 자금 동 자금이 거래되는 시장을 페더럴펀드시장(federal funds market) 페더럴펀드 거래 만기는 대부분 익일물이며, 기일물(term federal funds)의 경우 만기 제한은 없으나 통상 1년을 넘지 않음 미 연준의 지급준비금 부과 대상인 상업은행, 저축대부조합(Savings and Loan Association), 상호저축은행(Mutual Savings Bank), 신용협동조합(Credit Union), 해외 은행의 미국 지점 등은 페더럴펀드..

11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SIFIs :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규모가 크고 금융시스템 내 상호 연계성이 높아 부실화 또는 도산 시 금융시스템에 광범위하고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은행, 보험사 및 여타 금융기관을 의미 정책당국이 충격 완화와 금융시스템 복원을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하여 부실화된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을 회생시킬 경우 납세자 부담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SIFI 부실화 시 정부 지원이 있을 것이라는 대마불사 大馬不死(TBTF : Too Big To Fail)의 기대를 강화시킴으로써 SIFI의 과도한 리스크 추구 행태를 부추길 우려가 있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안정위원회(FSB)는 이러한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해 ..

11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스무딩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 우리나라는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어서 환율이 원칙적으로 외환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도록 하고 있으나,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이나 시장 불안심리 등으로 환율이 급변동하는 경우에 한해 외환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 변동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스무딩오퍼레이션이라 함 단기간에 환율이 급격하게 하락할 경우 : 외환당국이 외환시장에서 원화를 대가로 미 달러화를 매입함으로써 미 달러화의 초과공급(원화의 초과수요)을 흡수하여 원화의 절상 속도를 조절 환율이 급등하는 경우 : 외환당국이 외환시장에서 원화를 대가로 미 달러화를 매각하여 미 달러화의 초과수요(원화의 초과공급)를 흡수하여 원화의 절하 속도를 조절 ▷ 연관검색어 : 외환시장, 고정환..

9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불태화정책(sterilization policy) 수출입거래나 국경 간 자본유출입 거래는 국내은행을 통해 국내통화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국내통화량이 변동 - 통화량의 변동은 금리와 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불태화정책 해외부문으로부터의 외화유입으로 인해 본원통화가 증가하고 그 결과로 금리나 물가가 중앙은행이 목표한 바와 다르게 변동할 우려가 발생할 경우, 중앙은행이 공개시장 조작이나 지급준비율 조정 등을 통해 본원통화의 증가를 상쇄시키는 정책 불태화정책의 수단은 일반 통화정책과 같지만 그 목적이 해외부문에서 비롯된 통화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 다름 불태화정책은 중앙은행 등의 외환시장 개입과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음 중앙은행이 환율 안정을 위해 외환시장에서 외환을 매입할 ..

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복수통화바스켓제도 자국과 교역비중이 큰 복수국가의 통화를 선택하여 통화군(basket)을 구성하고 동 basket을 구성하는 통화들의 가치가 변동할 경우 각 통화별 교역가중치에 따라 자국 통화의 환율에 반영하는 환율 제도 우리나라는 1980년 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 당시 원/달러 환율은 SDR의 대미달러 화환율인 SDR바스켓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상대국인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 통화의 미달러화에 대한 환율 변동을 가중 평균한 독자바스켓 정책조정 변수인 실세 반영 장치 우리나라는 원화의 가치가 달러화 같은 특정 외국통화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스켓에 포함된 여러 통화의 가치 변화에 따라 변동하게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환율의 상대적 안정을 도모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