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리스크헤지 2

23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J커브효과 이론적으로 환율이 상승할 경우 수출은 늘어나고 수입은 줄어들어 경상수지가 개선되나 현실에서는 초기에 경상수지가 악화되다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야 경상수지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를 J커브효과라고 함 이는 환율의 상승으로 경상수지가 실질적으로 개선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 환율 상승으로 국내 수출품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이러한 가격 하락에 대응하여 수출물량이 증가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므로 단기적으로는 수출 가격에 물량을 곱한 수출금액이 오히려 감소하면서 경상수지가 악화될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수출입물가지수 2. KIKO 환율이 특정 구간(barrier)에 도달하는 경우 옵션이 발효(KI : Knock-In)되거나 소멸(KO : Knock..

22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환리스크 장래의 예상하지 못한 환율 변동으로 인하여 보유한 외화표시 순자산(자산-부채) 또는 현금흐름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는 불확실성 환리스크는 기본적으로 외환포지션의 보유 형태와 규모, 장래의 환율 변동 방향과 변동폭에 따라 결정됨 환리스크의 분류 거래위험(transaction risk) 계약시점과 결제시점 간의 시간적 차이에서 발생 예 : 우리나라 기업이 물품을 수출입하는 경우 수출입대금결제 시 계약일로부터 결제일까지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 환산위험(translation risk) 대차대조표상의 자산과 부채의 가치를 환산하는 과정에서 발생 예 : 외국에 자회사가 있는 본사의 연결재무제표에 외국 자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자국 통화로 환산할 때 발생하는 환율변동위험 ▷ 연관검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