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계비용 4

21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한계비용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함 비용 증가분을 생산 증가분으로 나눈 값 예를 들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데 10,000원의 비용이 소요 생수 1병의 평균생산비용은 100원 추가로 생수 한 병을 더 생산하여 101병, 102병을 생산할 때 비용이 각각 10,080원, 10,150원이라면 생수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10,080원 - 10,000원 = 80원, 102병째의 한계비용은 70원이 됨 생산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가도(10,080원→10,150원) 중요하지만 생산을 늘림에 따라 증가하는 추가적 비용이 어떻게 변하는가를(80원→70원)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 - 왜냐하면 생산의 목적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면 반..

21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파레토최적 경제적 최적의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의 하나 자원배분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여서 더 이상의 개선 여지가 없는 상황 생산 측면 : 어느 한 재화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재화의 생산을 감소시켜야 하는 상태 교환 측면 : 어느 소비자의 효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소비자의 효용을 감소시킬 수밖에 없는 상태 이 두 가지 조건이 동시에 성립하고 있는 상황 : 파레토 최적 파레토 최적은 소득분배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 수 없으며, 파레토 최적의 상태 또한 유일하지 않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음 ▷ 연관검색어 : 한계비용, 한계효용 2.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 가치가 통화, 채권, 주식 등과 같은 기초금융자산(underlying asse..

11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수쿠크(sukuk) 수쿠크란 샤리아(Sharia) 율법을 지키기 위해 투자자들에게 이자수익 대신 배당금 혹은 리스료 형태로 수익을 배분하는 채권 1970년대 이후의 고유가로 자금을 축적한 이슬람 산유국들의 금융수요가 확대되면서 수쿠크가 본격적으로 발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슬람금융이 전통 금융에 비해 보다 안전한 금융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성장세가 더욱 확대됨 샤리아 율법은 금전거래를 통해 이자를 수취하는 것을 부당이득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수쿠크는 특정 자산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수익 (실물자산에 대한 전매차익, 임대료 등)을 배당금 등의 형태로 배분한다는 점에서 일반 채권과 다름 수쿠크의 거래는 거래소를 통한 장내거래와 장외거래가 모두 가능 수쿠크 발행은 주로 장외거래를 통해 이루어짐 2016..

4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기타기본자본(AT1 : Additional Tier 1) 요건을 충족하는 기타기본자본증권 및 이와 관련된 자본잉여금, 자회사가 발행한 기타기본자본증권의 제삼자 보유분 중 일부 금액 등으로 구성 기타기본자본증권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금자 일반 채권자 및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영구적, 배당 및 이자지급의 임의성, 중도상환 유인이 없을 것 등 총 14개 요건을 충족해야 함 2. 기펜재 일반적으로 재화는 수요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늘어남 예외적으로 재화의 가격이 하락할 때 수요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 가격이 하락할 경우 수요의 법칙에 위배되는 재화를 이를 처음 관찰한 학자의 이름을 따서 기펜재라고 부름 기펜재는 열등재의 일종 열등재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