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조업평균가동률갭 3

17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제조업생산능력 / 가동률지수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및 가동률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생산능력과 이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생산능력지수 : 공급능력의 수준과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낸 것 가동률지수 : 생산실적과 생산능력과의 비율인 설비이용도를 지수로 만든 것 두 지수는 경기동향 분석의 기초 자료로 이용 두 지수는 공급능력과 설비 가동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준연도의 생산능력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시의 공급능력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냄 생산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경우 최대로 생산 가능한 수량 가동률 :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통계청은 매월 314개 품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를 산출 통상 생산 ..

12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실업률갭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 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휴자원을 파악할 때 유용 실업률갭이 양(+)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냄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 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음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은행의 경우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을 통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평가하거나, 통화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해소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다만 중앙은행이 실업률갭만을 ..

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가동률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생산실적 / 생산능력 * 100)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 생산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님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오히려 인플레이션 우려를 크게 하기 때문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는 매월 통계청 산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