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실업률 3

21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핀테크(FinTech)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기존 디지털 기술 혁신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효율화하거나 새 금융서비스를 출시하는 것 혁신의 정도에 따라 전통적(traditional) 핀테크와 신흥(emergent) 핀테크로 구분 전통적 핀테크 기존 금융서비스의 가치사슬 안에서 그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 기존 금융서비스를 자동화하려는 금융회사가 가치사슬의 핵심에 위치하고 IT기업은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 씨티은행이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해서 디지털화폐(Citicoin)로 글로벌 본 ・ 지점을 연결하여 자금을 결제 ・ 청산하는 시스템을 예시로 들 수 있음 신흥 핀테크 플랫폼을 제공하는 IT기업이 가치사슬의 핵심을 맡고 기존 금융서비..

16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자연독점(natural monopoly) 상품의 특성 때문에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독점 자연독점은 생산규모가 커질수록 생산비용이 계속 낮아지는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가 존재할 때 발생 규모의 경제가 큰 산업의 경우에는 시장에 먼저 진입하여 대규모 생산능력을 갖춘 선발 기업이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다른 후발기업의 시장 진입을 자연스럽게 봉쇄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지역 주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경우 공급자가 도시 곳곳에 수도관을 설치해야 할 때, 복수의 공급자가 수돗물을 공급한다면 공급자마다 수도관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고정비용을 지출해야 하므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평균 비용은 하나의 공급자가 존재할 때 가장 낮음 전기나 전화 등을 공급하는 경우도 마찬..

12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실업률갭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 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휴자원을 파악할 때 유용 실업률갭이 양(+)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냄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 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음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은행의 경우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을 통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평가하거나, 통화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해소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다만 중앙은행이 실업률갭만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