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산건전성 분류 3

22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회사채 민간기업이 비교적 장기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설비투자 자금 등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정해진 이자와 원금의 지급을 약속하면서 발행하는 채권 공모발행(public offering)의 경우 : 인수기관인 증권사, 산업은행 등이 총액을 인수하여 발행하며 정보의 투명성 제고를 통한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함 사모발행(private placement)의 경우 : 발행기업이 최종 매수자와 발행조건을 직접 협의하여 발행 만기 : 보통 1, 2, 3, 5, 10년 등으로 발행하는데 신용위험 때문에 대체로 3년 이하가 주종을 이루고 있음 발행금리 : 동일만기 국고채 금리에 일정한 가산금리(신용스프레드)를 붙여 발행 경제가 호황이어서 기업의 신용위험이 줄어든 경우에는 가..

16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자본적지출 자본재에 대한 사용 가능 햇수(내용연수)의 연장을 목적으로 한 대수선 또는 개보수나 생산성 또는 생산되는 재화의 질과 양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지출 기계, 설비, 구조물 또는 기타 고정자산에 대한 주요 개조나 증축이 이에 해당하며 총고정자본형성(투자)으로 처리함 ▷ 연관검색어 : 국내총투자율 2. 자산건전성 분류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산에 대해 건전성 여부를 분석하여 불건전자산의 발생을 예방하고 이미 발생한 불건전자산에 대하여는 조기 정상화를 촉진함으로써 자산운용의 건전화 도모를 주목적으로 함 금융기관은 감독당국의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에 따라 보유자산의 건전성 상태를 매 분기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의 5단계로 분류하여야 함 1999년 말 이후 해당 여신..

1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고정금리부채권(SB : Straight Bond) 고정금리부채권 정해진 기일에 고정된 이자를 지급하고 정해진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채권 전환사채(CB : Convertible Bond)의 주식전환권과 같이 특별한 조건이 없는 채권 회사채, 국채 등 대부분의 채권이 고정금리부로 발행 향후 금리 하락이 예상될 때 유리 변동금리부채권(FRN : Floating Rate Note) 고정금리부채권에 대비되는 채권 정해진 기일에 특정 금리(예 : 국내에서는 3개월 CD금리, 해외에서는 LIBOR금리)에 연동된 금리를 지급하고 정해진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 금리 상승이 예상될 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 물가연동채권 인플레이션이 심할 때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