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표채 2

20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통화안정계정 금융시장 유동성 조절을 위한 일종의 기한부 예금(term deposit) 통화안정계정은 국외부문 등으로부터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강제예치방식으로 활용되다가 1990년대 이후 금융시장의 발달, 환매조건부증권매매(RP) 등 시장친화적인 공개시장운영수단의 정착 등으로 그 활용도가 낮아짐 한국은행은 RP매각에 필요한 보유증권의 한계, 통화안정증권 발행 누증에 따른 부작용(이자부담 증가, 시장 수요 제한 등) 등으로 보다 효과적인 유동성 관리를 위하여 기한부 예금인 시장친화적인 통화안정계정을 2010년 10월 도입 통화안정계정의 특징 장점 : 담보 없이도 단기 유동성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 단점 : 중도해지, 제삼자에 대한 양도 및 담보제공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안정증권에 비해..

14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원/위안 직거래시장 달러를 매개로 하지 않고 원화를 위안화로, 위안화를 원화로 바로 환전할 수 있는 시장 2014년 7월 한 · 중 정상이 양국 간 자국 통화 거래를 활성화하는 것이 서로에게 이익이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한중 무역 및 금융거래에서 위안화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과제의 하나로 원/위안 직거래시장을 개설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서울외환시장운영협의회를 중심으로 중개시스템 개발, 시장 조성자 제도 도입 등을 추진 2014년 12월 원/위안 직거래시장을 공식 개설 2015년 10월 양국 정상회담을 통해 상해 원/위안 직거래시장을 조속한 시일 내에 개설하기로 합의 원/위안 직거래시장은 개설 이후 높은 관심과 시장조성 은행들의 적극적 거래 등에 힘입어 일평균 거래량이 20억 달러를 넘어서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