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험가중자산 3

15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이표채(coupon bond) 국채, 금융채, 회사채 등의 채권은 이자지급 방법에 따라 할인채(discount bond), 이표채(coupon bond), 복리채(compound interest bond) 등으로 구분 이표채 채권의 권면에 이표(쿠폰 coupon)가 붙어 있어 이자지급일에 이를 떼어 제시함으로써 이자를 지급받는 채권 통상적으로 만기까지 일정 기간마다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는 원금을 지급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채권을 지칭함 이표채처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수취하는 채권이자는 투자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원래의 채권 투자자금 원본의 회수기간이 일부 앞당겨지는 효과를 얻게 됨 이표의 이자 수취만큼 투자자금 회수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감안하여 채권의 만기를 정밀하게 산출한 것을 ..

14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위험가중자산 / 위험가중치 자기자본비율 산출 시 대차대조표상 자산계정의 단순 합계를 분모로 사용할 경우 자산을 구성하는 각 익스포저에 따른 리스크를 반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각 익스포저 금액에 해당 위험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한 금액인 위험가중자산을 분모로 사용 위험가중자산의 구성 신용 시장 운영리스크 각 리스크별 위험가중자산을 산출하는 방식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가 제시한 방법을 따르는 표준방법 은행의 자체 내부모형을 이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신용리스크 표준방법을 사용할 경우 익스포저에 거래상대방별 위험가중치를 곱한 금액을 합산하여 위험가중자산을 산출 내부 모형을 사용하는 은행의 경우 자체 추정한 차주 부도율, 부도시 손실률, 부도시 익스포저 등을 사용하여 위험가중자산을 산출 ▷ 연관검색..

8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변동금리부채권(FRN : Floating Rate Note) 채권은 지급이자 변동 여부에 따라 고정금리부채권(SB)과 변동금리부채권(FRN)으로 구분 변동금리부채권 지급이자율이 시장 실세금리에 연동하여 이자지급 기간마다 변동되는 채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행 통상 금리 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 상승기에는 투자자에게 유리 변동금리부채권의 지급이자율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 기준금리 : 시장실세금리에 연동 가산금리 : 변동금리채 발행자의 신용위험과 기준금리 발행자의 신용위험 차이에 의해 결정 채권발행자 : 금리 상승 가능성이 높아 고정금리부채권 발행이 어려울 경우 변동금리부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