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국환평형기금 3

13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외화자금시장 외환시장 : 이종통화 간 매매가 수반되고 환율이 매개변수가 되는 시장 외화자금시장 : 금리를 매개변수로 하여 외환의 대출과 차입이 이루어지는 시장 스왑(외환스왑 및 통화스왑) 시장 - 대표적인 외화자금시장 스왑 거래의 경우 외환의 매매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금리를 매개로 하여 여유 통화를 담보로 필요 통화를 차입한다는 점에서 대차거래라고 볼 수 있음 은행 간에 초단기로 외화의 차입 및 대여가 이루어지는 외화 콜 시장 1년 물 이내의 기간 물 대차거래가 이루어지는 단기대차시장 등 은행 간 외화예치거래도 넓은 의미에서 외화자금시장으로 볼 수 있으나 런던이나 싱가포르와 같은 국제중심지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외화예치거래가 활발하지 않음 외화자금시장도 넓은 의미에서는 외환시장에 ..

13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외국환거래법 우리나라는 경제개발 초기에 외화자금이 크게 부족하였고 이에 대응해 국가 차원에서 외화자금을 효율적으로 조달, 운용하기 위해 기업 등의 외환거래를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는 「외국환관리법」을 시행 1997년 외환위기 이후 IMF의 권고를 수용하여 민간부문의 경상거래 및 자본거래를 전면적으로 자유화하고 국가경제 측면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사항만을 제한하는 「외국환거래법」을 도입 외국한관리법이 외환거래 및 대외거래의 합리적 조정 또는 관리에 초점을 두었던 반면 외국환거래법은 외환거래 및 대외거래의 자유를 보장하고 시장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대외거래의 원활화, 국제수지의 균형 및 통화가치의 대외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치중 외국환관리법이 대내외 자금이동을 수반하는 자본거래 등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동 ..

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가동률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생산실적 / 생산능력 * 100)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 생산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님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오히려 인플레이션 우려를 크게 하기 때문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는 매월 통계청 산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