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업잉여 3

21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피셔효과(fisher effect) 192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어빙 피셔(Irving Fisher)가 발표한 이론으로, 피셔방정식(fisher equation)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의 합계와 같다고 표현함 시중의 명목금리가 상승했다면 그것은 실질금리의 상승이 원인일 수도 있고, 기대인플레이션의 상승이 원인일 수도 있는 것임 피셔효과가 통화정책에서 나타나는 사례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면 즉각적으로 시중의 명목금리가 상승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명목금리가 하락할 수 있는데 중앙은행이 통화긴축을 실시할 경우 물가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서 명목금리가 하락하게 되기 때문 국제피셔효과(international fisher effect) : 자본의 국제적..

14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요소비용 국민소득(NI at factor cost) 요소비용에 의한 국민소득은 통상 국민소득(NI)이라 불림 한 나라의 국민이 제공한 생산요소에서 발생한 소득의 총액, 즉 노동에 대한 대가인 피용자 보수와 토지, 자본, 경영에 대한 대가인 영업잉여의 합계 고정자본소모와 순생산 및 수입세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한 나라 국민이 벌어들인 순수한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 요소비용에 의한 국민소득 = 시장가격에 의한 국민소득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 피용자보수 + 영업잉여 ▷ 연관검색어 : 영업잉여, 피용자보수 2. 우발부채(채무) 과거에 발생한 원인은 있으나 채무의 확정이 미래 불확실한 사건의 발생 여부에 달려있는 잠재적 의무를 의미함 현재 의무라고 하더라도 이를 이행하기 위해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을 ..

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복수통화바스켓제도 자국과 교역비중이 큰 복수국가의 통화를 선택하여 통화군(basket)을 구성하고 동 basket을 구성하는 통화들의 가치가 변동할 경우 각 통화별 교역가중치에 따라 자국 통화의 환율에 반영하는 환율 제도 우리나라는 1980년 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 당시 원/달러 환율은 SDR의 대미달러 화환율인 SDR바스켓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상대국인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 통화의 미달러화에 대한 환율 변동을 가중 평균한 독자바스켓 정책조정 변수인 실세 반영 장치 우리나라는 원화의 가치가 달러화 같은 특정 외국통화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스켓에 포함된 여러 통화의 가치 변화에 따라 변동하게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환율의 상대적 안정을 도모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