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망실업자 3

19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채무상환유예(moratorium) 라틴어로 ‘지체하다’ 란 뜻의 ‘morari’에서 파생된 말로, 한 국가가 경제 ・ 정치적인 이유로 외국에서 빌려 온 차관에 대해 일시적으로 상환을 연기하는 ‘지불유예(支拂猶豫)’를 말함 채무를 반드시 갚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도저히 갚을 능력이 없으니 지급을 일정 기간 유예하겠다는 선언 모라토리엄은 채무상환이 아예 불가능한 ‘채무불이행(디폴트, default)’이나 채무상환을 거절하는 ‘지급 거절’과는 의미가 다름 한 국가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 그 국가는 IMF와 구제금융 협상을 벌이고, 이를 토대로 채권국 모임인 ‘파리클럽’, 채권은행단 모임인 ‘런던클럽’과 구체적인 채무상환 연장 조건을 협상함 이 과정에서 채무국은 채권국과 채무조정 작업을 하여 만기를 연장하거..

15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자발적 실업 일할 의사가 있어 고용되기를 원하지만 현재의 임금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일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실업 자발적 실업은 완전고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완전고용 :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현재의 주어진 임금 수준에서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모두 고용되는 상태 완전고용의 상황에서는 비자발적 실업은 전혀 존재하지 않음 자발적 실업이란 완전고용을 가정할 때 경제활동인구에서 고용된 인구를 뺀 나머지를 자발적 실업이라 할 수 있음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모두 고용될 수 없는 불가피한 두 가지의 실업 마찰적 실업 : 현재의 일자리보다 더 나은 일자리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업 구조적 실업 : 특정 산업의 사양화나 최저임금제, 노동조합, 임금 경직성 등 제도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실업 ..

12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실망실업자 구직단념자라고도 하며, 비경제활동인구 중 잠재구직자의 일부분이며 취업 희망과 취업 가능성 기준 외에도 노동시장적 사유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자 중 지난 1년 내 구직 경험이 있는 사람 노동시장적 사유라 함은 다음과 같은 사유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게 경우를 의미함 전공, 경력, 임금 수준, 근로조건 등의 면에서 적당한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 지난 4주간 이전에 구직하여 보았지만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서 교육 · 기술 · 경험 부족 등의 면에서 자격이 부족하여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경우 ▷ 연관검색어 : 고용보조지표, 자발적 실업 2. 실물화폐 / 명목화폐 실물화폐 : 고유의 사용가치 및 교환가치를 가지고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물건 화폐경제 초기에는 각기 그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