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비자물가지수(CPI) 4

23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GDP디플레이터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 GDP를 추계할 때는 생산자물가지수(PPI)나 소비자물가지수(CPI)뿐만 아니라 수출입물가지수, 임금 등 각종 가격지수가 종합적으로 활용 GDP디플레이터는 한 나라 경제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집합물이라 할 GDP의 가격을 측정하므로 모든 물가 요인을 포괄하는 가장 종합적인 물가지수임 소비, 투자, 수입 부문별로 명목GDP를 동일 부문의 실질GDP로 나누면 개별 부문에서의 물가지수(예를 들면 소비디플레이터, 투자디플레이터 등)를 얻을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국내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2. Herstatt 리스크 외환결제 과정에 내재된 리스크 중의 하나로서 외환거래 후 매도 통화를 지급하..

12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실업률갭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 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휴자원을 파악할 때 유용 실업률갭이 양(+)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냄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 : 노동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 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음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은행의 경우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을 통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평가하거나, 통화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해소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다만 중앙은행이 실업률갭만을 ..

10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소비자물가지수(CPI)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표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청에서 작성 기준년을 100으로 하여 작성 조사대상 상품 및 서비스의 구성과 가중치도 경제상황에 맞게 주기적으로 조정 현재는 40여 개 가계의 총소비지출에서 구입 비중이 큰 500여 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 가격을 기준으로 함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일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소득 내지 소비금액의 변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력과 생계비 등의 측정에 사용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은 실질임금의 하락을 의미하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한 임금인상의 기초자료로 널리 이용 ▷ 연관검색어 ..

10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생산자제품재고지수 현실 경제에서는 경기의 좋고 나쁨에 따라 재고의 증가 또는 감소 현상이 필연적으로 나타남 기업은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자 재고를 비축하거나 처분하는 과정에서 생산을 조정하기 때문에 재고 수준의 변동은 단기적인 경기순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인식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생산자가 보유하고 있는 원재료, 반제품, 재공품을 제외한 완제품 재고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한 것 월말 재고 수준을 나타내는 경기후행지표 통계청은 매월 광업 · 제조업 동향조사를 통하여 534개 품목을 조사하여 생산제품재고지수를 작성하여 공표 ▷ 연관검색어 : 경기종합지수 2. 생산자제품출하지수 / 생산자출하지수 생산자제품출하지수 : 생산자의 판매활동과 광업, 제조업, 전기 · 가스업 및 수도사업 제품의 출하 동향을 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