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가가치 3

19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총산출(gross output) 개념적으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화폐 평가액을 총합한 것으로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포함 국민계정에서는 생산주체별로 비용구조와 산출물 형태가 같지 않으므로 총산출의 개념도 산업, 정부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가사서비스 등 생산주체별로 다름 산업의 총산출은 일반적으로 일정 회계기간에 생산된 모든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격을 의미하는데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위한 생산도 포함하며 이의 평가는 생산자 가격에 의해서 행해지거나 생산자 가격에서 연관된 순상품세를 공제한 기초 가격에 의하여 평가됨 거래 가격이 존재하는 재화의 총산출은 생산량과 거래 가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서비스업의 경우 요금이나 수수료 등 제공한 서비스의 대가로 받은 수입을 총산출로 계상 도소매업과 같..

7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본원통화(RB : Reserve Base) 통화는 일차적으로 중앙은행의 창구를 통하여 공급되는데, 이를 통화량의 원천이 되는 통화라 하여 본원통화라고 함 본원통화 = 민간보유현금과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의 합계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상의 화폐발행액과 금융기관의 지급 준비예치금의 합계와 같음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거나 금융기관에 대출을 실시하면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이 늘어나 본원통화가 증가 1.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정부 예금을 정부가 필요에 따라 인출하는 경우 : 본원통화가 공급됨 2. 공급된 통화의 일부는 민간의 현금 보유 성향에 따라 민간보유로 남게 되며, 나머지는 대부분 금융 기관의 예금에 대한 지급준비금이 됨 3. 금융기관은 지급준비금 가운데 중앙은행에서 정하는 필요지급준비금을 제외한 나머지..

3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글로벌가치사슬(GVC : Global Value Chain) 상품의 설계, 부품과 원재료의 조달,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각 세분화된 과정이 어느 한 국가가 아닌 비용면에서 우위가 있는 국가에서 이루어지면서 각 단계별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세계교역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늘날 많은 수출기업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생산시설을 해외에 두고 여러 나라들로부터 부품을 조달하여 생산하고 수출(판매)도 현지에서 이뤄짐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위한 다양한 단계들이 각기 다른 국가에서 발생하면서 세계교역구조는 상호 유기적인 연계성을 갖게 됨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려면 기업은 각 단계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최적 국가에서 생산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가 무엇보다도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