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수통화바스켓제도 3

21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트리핀 딜레마(Triffin's dilemma)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 : 1993년 81세를 일기로 사망) 예일대 교수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심각해진 1960년, 기축통화의 구조적 모순을 트리핀 딜레마라는 용어로 설명함 그는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 체제가 기축통화(key currency)라는 내적 모순을 안고 있다고 진단 브레튼우즈 체제 : 기존의 금 대신 미국 달러화를 국제결제에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금 1온스의 가격을 35달러로 고정해 태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국가의 통화는 조정 가능한 환율로 달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든 것 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

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복수통화바스켓제도 자국과 교역비중이 큰 복수국가의 통화를 선택하여 통화군(basket)을 구성하고 동 basket을 구성하는 통화들의 가치가 변동할 경우 각 통화별 교역가중치에 따라 자국 통화의 환율에 반영하는 환율 제도 우리나라는 1980년 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 당시 원/달러 환율은 SDR의 대미달러 화환율인 SDR바스켓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상대국인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 통화의 미달러화에 대한 환율 변동을 가중 평균한 독자바스켓 정책조정 변수인 실세 반영 장치 우리나라는 원화의 가치가 달러화 같은 특정 외국통화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스켓에 포함된 여러 통화의 가치 변화에 따라 변동하게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환율의 상대적 안정을 도모하는..

7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미달러화페그제도 페그제도 : 자국 통화를 외국의 단일통화나 복수의 통화바스켓에 연동시켜 고정환율을 유지하는 제도 미달러화페그제도 자국 통화의 미국 달러화에 대한 환율은 고정시켜 둔 채 자국 통화의 기타 통화에 대한 환율은 미국 달러화 대 기타 통화의 환율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게 하는 환율제도 외환당국은 직접 및 간접 개입을 통해서 자국 통화의 대미달러화에 대한 시장환율이 기준환율을 중심으로 좁은 범위(± 1% 이내 또는 최소 6개월간 최대-최소 환율 간 차이가 2% 이내)에서 변동하도록 관리 페그제도의 장점 : 환율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됨으로써 국경 간 교역 및 자본유출입의 원활화를 도모하는 데 유리 페그제도의 단점 : 미국 달러화의 가치 변동에 따라 자국 통화의 가치가 수동적으로 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