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완자본(Tier 2) 3

23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후순위금융채 BIS 자기자본비율을 산정할 때 보완자본의 일종으로 분류되는 채권 은행 파산 시 예금 채권자 등 선순위채권자(unsubordinated creditors)에 대해 원리금이 전액 지급된 후에야 원리금의 지급이 가능한 점에서 자기자본의 성격을 지님 BIS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정한 조건을 갖춘 채권을 보완자본으로 인정 ① 무담보 및 후순위특약 요건 ② 원 계약기간이 5년 이상이고 잔존만기가 5년 이내가 될 경우 매년 기한부 후순위채무의 20%씩을 보완자본에서 차감 ③ 파산 등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선순위채권자가 채권 전액을 지급받을 때까지 상계권이 허용되지 않음 ▷ 연관검색어 : BIS 자기자본비율, 보완자본(Tier 2) 2. 후행종합지수 개별 경제지표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국민경제의 총체적..

135일차 경제금융용어

1. 옵션(option) 거래당사자들이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 strike price)으로 장래의 특정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일정 자산을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 선도 및 선물, 스왑거래 등과 함께 대표적인 파생금융상품의 하나 옵션의 종류 콜옵션(call option) : 매입 권리가 부여되는 옵션 풋옵션(put option) : 매도 권리가 부여되는 옵션 옵션거래를 통하여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게 되는 옵션 매입자는 시장 가격의 변동 상황에 따라 자기에게 유리한 경우 옵션을 행사하며 불리한 경우에는 포기할 수 있음 옵션 매입자 : 선택권에 대한 대가로 거래상대방인 옵션 매도자에게 프리미엄을 지급 옵션 매도자 : 프리미엄을 받는 대신 옵션 매입자의 옵션 행사에 따라 ..

8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변동금리부채권(FRN : Floating Rate Note) 채권은 지급이자 변동 여부에 따라 고정금리부채권(SB)과 변동금리부채권(FRN)으로 구분 변동금리부채권 지급이자율이 시장 실세금리에 연동하여 이자지급 기간마다 변동되는 채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행 통상 금리 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 상승기에는 투자자에게 유리 변동금리부채권의 지급이자율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 기준금리 : 시장실세금리에 연동 가산금리 : 변동금리채 발행자의 신용위험과 기준금리 발행자의 신용위험 차이에 의해 결정 채권발행자 : 금리 상승 가능성이 높아 고정금리부채권 발행이 어려울 경우 변동금리부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