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기금융시장 3

16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잠재GDP성장률 노동이나 자본 등의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였을 때 유지되는 실질GDP의 증가율로서 한 나라 경제의 최대 성장능력을 의미함 잠재GDP는 일정한 잣대로 추계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추정에 사용되는 원칙이나 통계분석기법 등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다는 한계가 있음 잠재GDP는 성장률도 의미가 있지만 그 수준이 실제GDP보다 얼마나 높은가 또는 낮은 가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 실제GDP성장률이 잠재GDP성장률을 상회하더라도 그 수준은 잠재GDP를 하회할 수도 있음 우리나라와 같이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정의에 의한 생산요소의 완전고용으로 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잠재GDP성장률은 경제의 적정 성장 목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하여 거시경제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있어 널리..

7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머니마켓펀트(MMF : Money Market Fund) 고객의 일시적인 여유자금을 금리위험과 신용위험이 적은 국공채, 어음 등에 운용하고 동 운용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배당하는 펀드의 일종으로써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 MMF로 들어온 자금은 주로 부도 위험이 거의 없는 국채, 통화안정증권 등의 채권, 우량 CP, CD 및 예금 등으로 운용 만기는 짧아 가중평균 잔존만기가 75일 이내로 제한 편입자산의 신용등급은 취득 시점을 기준으로 상위 2개 등급 이내(채권 AA이상, CP A2 이상) 주식과 관련이 있는 채권(전환사채 등)이나 사모발행채권 등은 운용대상 자산에서 제외 일반적으로 주식형펀드나 채권형펀드는 편입자산의 시장 가격을 매일 기준 가격에 반영하는 시가평가 MMF는 편입자산의 만기가 매우 짧은 ..

5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 금융기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통상 만기 1년 이내에 단기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시장 기업의 시설 자금이나 장기운전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되는 주식 채권 등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에 대응하여 자금시장이라고도 불림 현재 우리나라의 단기금융시장 콜시장 기업어음(CP)시장 양도성예금증서(CD)시장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시장 전자단기사채시장 통화안정증권시장(만기 1년 이내) 등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파급되는 시발점이 되는 시장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장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변경은 단기금융시장 금리 변화를 통해 장기금리 및 금융기관 예금 · 대출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생산, 물가 등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침 일반적으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