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금리 3

20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컨트리리스크 해외 투자자가 평가하는 특정 국가의 대외신인도를 일컫는 말로 투자 상대국 정부의 예상치 못한 제도 변경이나 정책 변화로 투자자가 손실 또는 불이익을 입게 될 가능성을 의미함 신용위험이 주로 거래 상대방의 원리금 상환과 관련된 위험인 반면 컨트리리스크는 주로 투자 상대국 정부의 행위로 인한 투자 손실 또는 불이익 발생 가능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다름 대표적인 컨트리리스크로는 투자 상대국의 정책당국이 원리금 상환이나 예치금을 동결 외환시장을 일시적으로 폐쇄 조세제도를 불리하게 개편 과실송금을 규제하는 경우 등 투자상대국 정부가 투자자산의 강제몰수 또는 징발 및 수용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경우, 전쟁이나 혁명의 발발로 인한 투자자산의 파괴와 자산가치의 하락도 컨트리리스크에 해당됨 2. 코리보(..

16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 1938년 Hansen이 기술 정체와 인구증가율 둔화에 따른 투자기회의 대폭 축소로 미국 경제가 1930년대 대공황 발생 이후에도 회복되지 못하고 과소 투자 및 총수요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 최근에는 하버드대학의 Summers 교수가 IMF경제포럼(2013.11) 연설에서 “선진국 경제는 2000년대 초부터 구조적 요인에 의해 장기침체에 진입하였다”라고 주장하면서 널리 회자되고 있음 장기침체란 경제활동의 장기적 침체라는 뜻 대체로 실제GDP가 잠재GDP를 하회하는 가운데 총수요가 억제되어 있거나 공급 측면에서 잠재GDP가 정체되어 있는 상황 장기는 인구고령화 등에 따른 노동 증가율 감소, 혁신 정체, 자본투자 감소 등 공급요인에..

47일자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기저효과(base effect)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임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음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고,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 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 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