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의 탈집중화 2

9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브릭스(BRICS) 2000년대를 전후하여 빠른 경제성장세를 보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5개국을 지칭하는 용어 2001년 미국의 투자회사인 골드만삭스의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BRICs) 세계의 생산과 인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을 지칭하기 위해 4개국 영문 국명의 첫 글자를 합성하여 만든 것 이들 4개국은 2006년부터 비공식적인 외무장관회의를 시작한 데 이어 2009년 첫 번째 정상회의를 개최한 이후 지속적으로 모임을 갖고 있음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포함되면서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가 기존의 BRICs에서 BRICS로 바뀌었으며 이에 따라 브릭스의 지정학적 대표성이 부..

4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금융의 탈중개화(disintermediation) 핀테크의 발달에 따라 금융업의 분화 현상이 심화됨으로써 금융서비스가 탈중개화되고 탈집중화되는 경향 금융서비스가 기존 금융시스템과 분리되는 움직임이 가속화할 전망 금융의 탈중개화 블록체인을 통한 송금, P2P 대출처럼 금융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거래가 당사자 간에 직접 이뤄지는 현상 금융의 탈중개화는 금융중개기관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는 반면, 금융서비스 공급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 연관검색어 : 핀테크, 금융의 탈집중화, 블록체인, P2P대출 2. 금융의 탈집중화(decentralizaion) 금융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기존의 대형 금융회사들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고객에게 예금 · 대출 · 송금 · 결제 · 보험 · 투자 등 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