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본위제도 2

20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통화유통속도(velocity of circulation of money) 기본적으로 통화 한 단위가 일정 기간 동안 각종 거래를 매개하기 위해 몇 번 유통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국민경제 전체의 거래규모를 측정할 수는 없으므로 소득이 거래액과 유사하게 변동한다는 가정 하에 연간 국민소득을 통화량으로 나누어 산출 동 지표는 그 명칭과는 달리 시중에 돈이 얼마나 ‘유통’ 되고 있는지 보다는 실물경제 활동에 비해 통화량이 얼마만큼 ‘존재’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음 통화유통속도는 장기적으로 생산의 우회도, 경제주체의 거래 관습 등 경제 구조적인 원인에 의해 결정되나, 단기적으로는 통화 보유의 기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금리, 예상물가상승률의 변화, 경기 변동 등 거시적 요인과 새로운..

2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관리통화제도 1930년대의 대공황을 계기로 많은 나라들이 금본위제도를 포기하면서 도입된 통화제도 일국의 통화량 증감을 중앙은행 등 정책당국이 재량으로 조절하는 제도 화폐 발행량이 정책당국에 의해 관리됨 금본위제도 금의 자유로운 국제이동을 통해 환율 안정이 주목적 경기변동이 국제적인 파급을 피하기 어려움 대외균형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대내균형의 달성이 어려워지는 등의 취약점이 있음 제1차 세계대전 이후 1931년 영국의 금본위제가 붕괴되고 금의 편재로 국제무역의 원활한 결제가 어렵게 되자 세계 각국은 완전고용을 도모하는 통제경제체제로 이행하면서 관리통화제도를 채택 금본위제도 : 환율 안정 및 국제수지 같은 국제 균형을 우선시 관리통화제도 : 성장과 고용 등 국내 균형 우선의 통화제도 관리통화제도 하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