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민부담률 2

17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제조업생산능력 / 가동률지수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및 가동률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생산능력과 이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생산능력지수 : 공급능력의 수준과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낸 것 가동률지수 : 생산실적과 생산능력과의 비율인 설비이용도를 지수로 만든 것 두 지수는 경기동향 분석의 기초 자료로 이용 두 지수는 공급능력과 설비 가동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준연도의 생산능력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시의 공급능력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냄 생산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경우 최대로 생산 가능한 수량 가동률 :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통계청은 매월 314개 품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를 산출 통상 생산 ..

2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국민부담률(total tax revenue as percentage of GDP) 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조세부담률 + 사회보장부담률) 조세부담률 : 조세를 명목GDP로 나눈 것 사회보장부담률 : 국민이 부담하는 사회보장기여금을 명목GDP로 나눈 것 조세부담률보다 포괄적으로 국민부담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조세부담률이 국민의 조세부담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이기는 하나 국민들이 강제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연금 및 사회보험의 부담은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음 OECD는 미래에 보장급부를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모든 강제적인 납부액 즉, 사회보장기여금(social security contributions)을 일종의 조세로 분류하여 국민부담률을 산출 국민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