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총생산(gdp) 4

23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Beyond GDP 인간의 복지(well-being)와 후생, 사회적 발전을 제대로 반영한 측정지표를 의미함 지금까지 널리 이용해 온 GDP(국내총생산)는 한 국가의 거시경제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경제지표이지 인간의 후생복지를 측정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음 사실 GDP는 인간의 복지나 행복에 중요한 여가, 건강, 직업의 안정성, 사회 안전과 자연환경 등의 요소를 감안할 수 없어, 이러한 GDP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GDP를 넘어선(beyond) 지표 즉, Beyond GDP의 개발이 이슈화됨 2004년 OECD World Forum부터 Beyond GDP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학계와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지속적(sustainable)이고 평등한(equit..

10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성장기여도 성장기여도 : 특정 경제부문(예 : 산업 X₁)이 전체 경제성장(예 : ∑Xn, 산업 X₁, ⋯, 산업 Xn)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구체적으로는 아래 산식에 의해서 산출 X₁의 성장기여도(%p) = X₁의 성장기여울 X ∑Xn의 증감률 X₁의 성장기여율(%) = ( X₁의 증감액 / ∑Xn의 증감액) X 100 성장기여율 합계(또는 평균값)의 증감에 대하여 그 구성 항목이 전체를 증가시키는데 얼마나 공헌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각 항목의 변화 크기를 전체의 증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냄 부문별 성장기여율의 합은 100 부문별 성장기여도의 합은 전체 성장률과 같게 됨 성장기여율과 성장기여도의 개념을 알고 있으면 여러 구성항목으로 이루어진 통계의 증감을 분석하는데 유용 예를 들..

9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비관측경제(NOE : Non-observed Economy) 합법적이건 불법적이건 모든 경제정 거래에서 발생한 소득을 포함해야 하는 국내총생산(GDP)의 추계 시 이용되는 기초자료와 행정자료가 지하경제나 불법 생산 등을 반영하기가 어려워 누락된 경제활동 비관측경제는 일반적으로 문제 영역(problem areas)에 속하는 활동 때문에 발생 대표적인 문제 영역 - 지하 경제(underground economy) - 은닉 경제(hidden economy) 조세나 사회적 의무의 회피, 근로 안전이나 소비자보호 등 법적 · 행정적 규제에 따른 비용의 회피를 위하여 은밀하게 이루어짐 세무 · 통계당국에 축소 보고되기도 하고 현금거래로만 행해져 아예 누락되기도 함 마약, 장물거래, 성매매 등과 같이 재화 및 ..

5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대안정기(great moderation) 2002년 4월 전미경제연구소(NBER :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rch) 연례 세미나에서 미국 하버드대 스톡(J. Stock) 교수와 프린스턴대 왓슨(M. Watson) 교수가 주요국의 경기순환이 달라졌음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 1980년대 중반 이후 2007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약 20년간 일본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서 산출량, 인플레이션 등 거시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감소하면서 경제가 안정을 누린 기간을 지칭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2004년 미국 연준의 버냉키 의장은 대안정기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경제제도, 기술, 사업관행, 경제의 구조적인 특징 변화가 경제의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을 향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