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후생지표 2

23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Beyond GDP 인간의 복지(well-being)와 후생, 사회적 발전을 제대로 반영한 측정지표를 의미함 지금까지 널리 이용해 온 GDP(국내총생산)는 한 국가의 거시경제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경제지표이지 인간의 후생복지를 측정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음 사실 GDP는 인간의 복지나 행복에 중요한 여가, 건강, 직업의 안정성, 사회 안전과 자연환경 등의 요소를 감안할 수 없어, 이러한 GDP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GDP를 넘어선(beyond) 지표 즉, Beyond GDP의 개발이 이슈화됨 2004년 OECD World Forum부터 Beyond GDP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학계와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지속적(sustainable)이고 평등한(equit..

1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경제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 복지지표로서 한계성을 갖는 국민총소득(GNI)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의 노드하우스(W. Nordhaus)와 토빈(J. Tobin)이 제안한 새로운 지표 국민총소득 현재 주요 지표로 활용 중 국민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 (주부의 가사노동, 여가, 공해 등)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어 국민 생활의 질적 수준 또는 복지 수준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 경제후생지표 국민총소득에 후생 요소를 추가 비 후생 요소를 제외함으로써 복지 수준을 정확히 반영하려는 취지로 제안 통계 작성에 있어 후생 및 비 후생 요소의 수량화가 쉽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 ▷ 연관검색어 : 국민총소득(GNI) 2. 경직적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