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 2

47일자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기저효과(base effect)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임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음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고,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 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 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

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결제부족자금 공동분담제(loss-sharing) 참가기관의 결제불이행에 따른 미결제채무를 여타 참가기관들이 공동 분담함으로써 결제의 종료성을 확보하는 방안 특정 기관의 결제불이행이 연쇄적으로 여타 기관의 결제불이행을 유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전체 지급결제시스템의 붕괴와 금융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것 미결제 채무의 분담기준 참가기관의 규모 시스템 이용실적 참가기관의 신용한도액 등 신용한도와 동시에 운용될 때 각 참가기관이 결제불이행기관에 제공한 신용한도를 손실분담기준으로 사용 각 참가기관은 보다 신중하게 상대신용한도를 설정 참가기관들에 대하여 리스크 감축을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기대 생존자 분담(survivors pay) : 결제부족자금 공동분담은 생존기관(결제이행기관)이 결제이행 재원을 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