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조업생산능력 / 가동률지수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및 가동률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생산능력과 이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생산능력지수 : 공급능력의 수준과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낸 것
- 가동률지수 : 생산실적과 생산능력과의 비율인 설비이용도를 지수로 만든 것
두 지수는 경기동향 분석의 기초 자료로 이용
두 지수는 공급능력과 설비 가동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준연도의 생산능력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시의 공급능력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냄
생산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경우 최대로 생산 가능한 수량
가동률 :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통계청은 매월 314개 품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를 산출
통상 생산 : 자가소비, 출하 및 재고변동의 합으로 표현
- 출하가 생산보다 경기에 대해 민감(선행)한 경향이 있음
- 경기가 하강하는 경우 출하는 즉시 감소하나 기업이 생산을 급격히 감소시키기 어려우므로 재고가 증가
- 경기가 회복되는 경우 출하가 증가하면서 재고가 감소하고 뒤따라 생산이 증가
가동률은 경기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함
가동률 = 생산실적 / 생산능력 × 100 |
▷ 연관검색어 : 제조업평균가동률갭
2. 제조업평균가동률갭
가동률 : 사업체의 생산설비 이용도를 나타내는 지표
통상 가동률은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 제품의 판매량이 감소할 경우 사업체가 생산량을 축소 조정하고 불필요한 장비의 가동도 줄여나가면서 하락, 반대로 경제상황이 호전되면 가동률은 상승
구체적으로 가동률은 생산능력 대비 실제 생산실적의 비율을 말함
생산능력 : 사업체가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의 정상적인 조업환경에서 생산했을 경우 가능한 최대 생산량
제조업평균가동률은 제조업 부문의 생산설비 이용도를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음
제조업평균가동률만으로는 경제 내에 유휴생산능력이 있는지 여부와 그 크기를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 시점에서의 제조업평균가동률이 동 가동률의 잠재 수준에서 얼마만큼의 편차를 보이는가를 계산하여 그 판단의 참고로 활용하는데 이 편차를 제조업평균가동률갭이라 함
일반적으로 잠재수준은 해당 연도의 장기 평균(예를 들면 10년 이전 기간 제조업가동률의 평균)을 계산하여 사용
제조업평균가동률갭이 마이너스이고 절댓값이 클수록 유휴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투자 위축과 실업 등을 예상하게 되고, 플러스이면서 클수록 공급 측면에서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예상하게 됨
▷ 연관검색어 : 실업률갭
3. 조세부담률
조세부담률
- 국민계정에서 조세수입이 국민총소득(GNI)에서 차지하는 비중
- 국민 전체의 조세부담 정도를 나타내 주는 지표로 조세의 누진 정도, 국가의 조세징수능력 등에 따라 결정됨
- 재정통계의 조세부담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거둬들인 국세 및 지방세 수입이 경상금액기준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파악
- 조세부담률이 높다는 것은 국민들이 벌어들인 소득 중에서 세금으로 납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
조세부담률 = (국세 + 지방세) / 경상GDP × 100 |
국민부담률
- 국가가 가입을 의무화하거나 재정에서 지급을 보장하는 각종 공적 사회보험에 대한 보험료 등을 조세수입에 더하여 경상GDP 대비 비율을 산출한 것
국민부담률 = (국세 + 지방세 + 사회보장기여금) / 경상GDP × 100 |
사회보장기여금 : 4대 공적연금인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과 고용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6.09 |
---|---|
17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6.08 |
17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6.06 |
17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6.05 |
17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