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2p대출 3

20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콜옵션(call option) 거래당사자들이 미리 정한 가격(행사 가격, strike price)으로 장래의 특정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일정 자산(기초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 거래대상이 되는 자산은 특정 주식, 주가지수, 통화, 금리 등 매우 다양 콜옵션 매도자로부터 동 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콜옵션 매입자에게 부여되는 대신 콜옵션 매입자는 콜옵션 매도자에게 그 대가인 프리미엄을 지급 콜옵션 매입자는 현재 가격이 행사 가격보다 높은 경우 매입 권리를 행사하여 대상 자산을 매입하게 되며 현재 가격이 행사 가격보다 낮을 경우 매입 권리를 포기하고 시장 가격에 의해 대상 자산을 매입함 콜옵션 거래의 손익은 행사 가격, 기초자산의 현재 가격 및 프리미엄에 의해 결정됨 2. 크라우드..

9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분산원장기술(DLT :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거래정보가 기록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공유(P2P : Peer-to-Peer)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 · 관리하는 기술 전통적 금융시스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앙집중형(centralized) 시스템은 원장을 집중 · 관리하는 '제3의 기관'(TTP : Trusted Third Party)을 설립하고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발전 제3의 기관 = '한국예탁결제원'(KSD) : 투자자들이 증권회사를 통해 거래하는 주식을 집중 · 관리 분산원장기술 다수 참여자가 거래내역이 기록된 원장 전체를 각각 분산 보관(decentralized) 거래할 때마다 이를 검증하며 갱신하는..

4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금융의 탈중개화(disintermediation) 핀테크의 발달에 따라 금융업의 분화 현상이 심화됨으로써 금융서비스가 탈중개화되고 탈집중화되는 경향 금융서비스가 기존 금융시스템과 분리되는 움직임이 가속화할 전망 금융의 탈중개화 블록체인을 통한 송금, P2P 대출처럼 금융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거래가 당사자 간에 직접 이뤄지는 현상 금융의 탈중개화는 금융중개기관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는 반면, 금융서비스 공급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 연관검색어 : 핀테크, 금융의 탈집중화, 블록체인, P2P대출 2. 금융의 탈집중화(decentralizaion) 금융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기존의 대형 금융회사들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고객에게 예금 · 대출 · 송금 · 결제 · 보험 · 투자 등 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