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BOR 3

24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TED 스프레드 TED 스프레드는 원래 미국 단기국채(T-Bill) 선물금리와 유로달러 선물금리 간 차이로, 영문 약어 TED는 T-bill의 ‘T’와 유로달러 선물을 의미하는 ‘ED’에서 유래함 1987년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 : Chicago Mercantile Exchange)가 미국 단기국채 금리선물의 상장을 폐지한 이후에는 미국의 3개월 국채금리와 3개월 LIBOR 간 차이를 TED 스프레드로 부르고 있음 3개월 국채금리가 위험이 없는(risk-free) 것으로 인식되는 반면 LIBOR는 은행의 신용리스크를 반영하므로 TED 스프레드는 경제 전반의 신용리스크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됨 주가 급락, 신용 불안 등으로 신용리스크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면 은행 간 대출에 적용되는 LIBOR..

20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컨트리리스크 해외 투자자가 평가하는 특정 국가의 대외신인도를 일컫는 말로 투자 상대국 정부의 예상치 못한 제도 변경이나 정책 변화로 투자자가 손실 또는 불이익을 입게 될 가능성을 의미함 신용위험이 주로 거래 상대방의 원리금 상환과 관련된 위험인 반면 컨트리리스크는 주로 투자 상대국 정부의 행위로 인한 투자 손실 또는 불이익 발생 가능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다름 대표적인 컨트리리스크로는 투자 상대국의 정책당국이 원리금 상환이나 예치금을 동결 외환시장을 일시적으로 폐쇄 조세제도를 불리하게 개편 과실송금을 규제하는 경우 등 투자상대국 정부가 투자자산의 강제몰수 또는 징발 및 수용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경우, 전쟁이나 혁명의 발발로 인한 투자자산의 파괴와 자산가치의 하락도 컨트리리스크에 해당됨 2. 코리보(..

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가동률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생산실적 / 생산능력 * 100)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 생산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님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오히려 인플레이션 우려를 크게 하기 때문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는 매월 통계청 산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