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사채 2

22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회사채 민간기업이 비교적 장기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설비투자 자금 등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정해진 이자와 원금의 지급을 약속하면서 발행하는 채권 공모발행(public offering)의 경우 : 인수기관인 증권사, 산업은행 등이 총액을 인수하여 발행하며 정보의 투명성 제고를 통한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함 사모발행(private placement)의 경우 : 발행기업이 최종 매수자와 발행조건을 직접 협의하여 발행 만기 : 보통 1, 2, 3, 5, 10년 등으로 발행하는데 신용위험 때문에 대체로 3년 이하가 주종을 이루고 있음 발행금리 : 동일만기 국고채 금리에 일정한 가산금리(신용스프레드)를 붙여 발행 경제가 호황이어서 기업의 신용위험이 줄어든 경우에는 가..

11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신용경색(credit crunch) 금융기관 등에서 돈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현상 신용경색은 금융시장에 공급된 자금의 절대량이 적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 있을 때 주로 발생 신용경색이 발생하면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제약을 받게 됨 신용경색이 나타나는 과정 먼저 일부 은행의 도산이나 부실화로 인해 금융시스템 내의 대출 가능 규모가 줄어들게 됨 이들 은행과 거래하던 기업들의 차입이 어려워지면서 기업 도산 확률이 높아짐 이렇게 되면 건전한 은행들도 높아진 기업의 신용위험과 유동성 위험 등에 대비하여 대출 규모를 축소 금융시스템 내 유동성이 부족해져 자금공급이 더욱 위축되는 악순환이 발생 신용경색은 주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