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폐환수 2

22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화폐환수 한국은행이 발행하여 시중에서 유통되는 화폐는 예금 또는 세금 납부 등으로 금융기관으로 입금되며, 금융기관은 입금된 화폐 중 일부를 고객의 예금인출에 대비하여 시재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한국은행에 예금지급준비금과 결제자금 등으로 입금함 화폐의 환수 : 한국은행에서 발행된 화폐가 다시 한국은행으로 되돌아 들어오는 것 한국은행은 환수된 화폐에 대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사용화폐와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손상화폐로 구분하는 정사(整査) 과정을 거친 후 사용화폐는 금융기관을 통해 다시 시중에 발행하고, 손상화폐는 폐기함 ▷ 연관검색어 : 화폐발행 2. 환경계정 1993년 UN이 경제활동과 환경 간의 상호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계정의 위성계정 형태로 새로 도입한 「환경경제통합계정」(S..

22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화폐교환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류의 화폐로 바꾸어 주거나 훼손 ・ 오염 또는 마모 등의 사유로 손상된 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화폐로 바꾸어 주는 것 손상된 화폐를 바꾸어 줄 때의 기준 앞뒷면을 모두 갖춘 은행권은 면적을 기준으로 3/4 이상 남아있는 경우 : 액면금액의 전액 2/5 이상 3/4 미만인 경우 :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 2/5 미만인 것 : 무효로 교환이 불가 여러 개로 조각난 은행권은 동일 은행권으로 인정되는 부분을 모두 합친 면적을 기준으로 교환 불에 탄 은행권은 불에 탄 재가 은행권에서 떨어지지 않고 원형에 붙어 있거나 재만 남은 은행권도 흩어지지 않고 붙어 있으면 그 재 부분까지 면적으로 판정하여 교환 주화는 모양을 알아볼 수 있고 진위를 판별할 수 있으면 액면금액으로 바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