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은금융망(BOK-Wire+) 3

22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법」에 의하여 설립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수행하는 통화정책에는 경제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대적 과제가 반영되는 게 보통임 한국은행은 설립 이래 1950년대 전란극복과 금융체계 정비 1960~70년대 공업화와 성장통화 공급 1980~90년대의 물가안정 기반구축과 금융자유화 2000년대의 경제의 글로벌화와 금융위기 극복 등 시대가 요구하는 중앙은행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 그동안 여러 차례의 「한국은행법」 개정으로 제도가 정비되어 왔는데 2011년 제8차 개정으로 한국은행의 목적 조항에 물가안정과 함께 금융안정 책무가 명시됨 현행 「한국은행법」은 한국은행의 설립목적을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

19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총산출(gross output) 개념적으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화폐 평가액을 총합한 것으로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포함 국민계정에서는 생산주체별로 비용구조와 산출물 형태가 같지 않으므로 총산출의 개념도 산업, 정부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가사서비스 등 생산주체별로 다름 산업의 총산출은 일반적으로 일정 회계기간에 생산된 모든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격을 의미하는데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위한 생산도 포함하며 이의 평가는 생산자 가격에 의해서 행해지거나 생산자 가격에서 연관된 순상품세를 공제한 기초 가격에 의하여 평가됨 거래 가격이 존재하는 재화의 총산출은 생산량과 거래 가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서비스업의 경우 요금이나 수수료 등 제공한 서비스의 대가로 받은 수입을 총산출로 계상 도소매업과 같..

15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일중RP제도 총액결제시스템에서 중앙은행이 참가기관에게 환매조건부증권매매(RP)를 통해 당일 상환을 조건으로 결제에 가용할 수 있는 일중유동성을 제공하는 방법 총액결제시스템에서는 지급 지시를 건별로 결제하기 때문에 참가기관은 결제에 소요되는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하나 영업시간 중에 자금 수취와 지급 시점의 불균형 등으로 일시적인 결제자금 부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국채 등 적격 증권을 대상으로 환매조건부 증권매매를 통해 일시적인 결제부족자금을 지원함으로써 참가기관들의 실시간 자금결제를 가능하게 함 중앙은행의 일중당좌대출 지원 대상이 아닌 비은행 금융기관의 경우 일중유동성 지원은 보통 일중RP를 통해 이루어짐 한국은행이 운영하는 한은 금융망에서도 2012년 2월에 국채 및 통화안정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