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콜금리 3

20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컨트리리스크 해외 투자자가 평가하는 특정 국가의 대외신인도를 일컫는 말로 투자 상대국 정부의 예상치 못한 제도 변경이나 정책 변화로 투자자가 손실 또는 불이익을 입게 될 가능성을 의미함 신용위험이 주로 거래 상대방의 원리금 상환과 관련된 위험인 반면 컨트리리스크는 주로 투자 상대국 정부의 행위로 인한 투자 손실 또는 불이익 발생 가능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다름 대표적인 컨트리리스크로는 투자 상대국의 정책당국이 원리금 상환이나 예치금을 동결 외환시장을 일시적으로 폐쇄 조세제도를 불리하게 개편 과실송금을 규제하는 경우 등 투자상대국 정부가 투자자산의 강제몰수 또는 징발 및 수용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경우, 전쟁이나 혁명의 발발로 인한 투자자산의 파괴와 자산가치의 하락도 컨트리리스크에 해당됨 2. 코리보(..

17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제1차 통화조치 한국전쟁의 여파로 산업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물가가 급등하는 등 경제가 큰 혼란에 빠짐에 따라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1953년 2월 15일 화폐단위를 ‘원(圓)’에서 ‘환(圜)’으로 변경하고 100대 1로 절하(100圓 → 1圜)하는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함 1953년 2월 17일부터 ‘圓’ 표시 한국 은행권의 유통을 중지시켰으며 그동안 한국 은행권과 함께 저액면용으로 통용되어 오던 7종류 조선은행권(10圓, 5圓, 1圓, 50錢, 20錢, 10錢 및 5錢)과 일본 정부의 소액보조화폐(1錢주화)의 유통도 전면 중지하고 환(圜) 표시 한국은행권만을 유일한 법화로 인정함으로써 우리나라 화폐의 완전한 독자성이 확보됨 ▷ 연관검색어 : 제2차 통화조치 2. 제2차 통화조치 정부는 1962년부터 ..

47일자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기저효과(base effect)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임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음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고,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 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 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