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로(GIRO) 3

1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채무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 지급준비금 : 은행이 예금고객의 지급 요구에 응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놓은 유동성 자산 지급준비율 : 적립대상 채무 대비 지급준비금의 비율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있는 자금(지준예치금)과 보유하고 있는 현금(시재금)으로 구성됨 지급준비제도는 1863년 미국에서 예금자보호를 위해 법정지급준비금을 부과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음 1930년대 들어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급준비제도는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단으로 그 위상이 높아짐 1980년대 이후 금융..

5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대기성 여수신제도(standing facilities) 대기성 여수신제도는 주요국 중앙은행에서 대출제도로 운용 중앙은행이 차입기관의 자금사정이나 자금용도 등에 대한 제한 없이 단기자금을 제공하되 시장금리보다 높은 벌칙성 금리로 제공하는 담보대출제도 차입은행이 기본적인 자산건전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한 차입수요에 따라 제한 없이 자금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금융기관의 단기 유동성 부족을 해소하는 안전판 기능을 수행 대기성 여신제도 : 단기시장금리는 대기성 여신금리보다 높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대기성 여신금리가 단기시장금리의 상한 기능을 수행 대기성 수신제도 : 중앙은행이 은행의 여유자금을 금액 제한 없이 수신하여 정책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지급하는 제도로서 대기성 수신금리는 단기시장금리의 하한 기능을 수행..

5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납부자자동이체(standing order) 은행 지로 업무의 한 형태로 고객이 거래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에 대출원리금, 정기적금 등을 정기적으로 납부할 때 거래은행의 본인계좌에서 다른 은행으로 자동 이체시켜 주는 업무 1994년 4월부터 실시 납부자자동이체는 주로 대출원리금, 적금 납입금, 신탁적립금, 기타 정기납부금(각종 회비, 기부금, 임차료) 등 정기적인 은행 납입금 납부 시 이용 ▷ 연관검색어 : 지로(GIRO), 출금이체 2. 내국신용장 국내 외국환은행이 수출업자의 의뢰에 따라 수출업자 앞 국제신용장(Master L/C)을 담보로 하는 등의 방식으로 국내 제조업자 또는 공급업자 앞으로 발행하는 신용장 수출업자가 수출용 수입원자재와 국내에서 생산된 수출용 원자재 또는 수출용 완제품을 구매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