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정보교환제도(truncation) 2

17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전자정보교환제도(truncation) 금융기관 수납장표의 전자정보교환제도 : 공과금 납부용지, 지로용지, 어음, 수표 등 금융기관에서 수납하는 각종 장표를 표준화하고 업무처리를 전산화하여 장표 실물의 이동 없이 전산망을 통한 정보(전산 데이터)의 이동만으로 교환 업무를 처리하는 제도 장표의 실물 이동 및 수작업에 따른 인적 ・ 물적 비용, 분실, 도난 등 사고 발생 및 오류 발생 가능성을 크게 감소 수납장표 전자정보교환제도는 2000년 5월 자기앞수표를 시작으로 대상 장표의 범위를 확대하여 2009~2010년 중 어음 및 기타 수표의 교환이 정보화되면서 마무리됨 현재 금융결제원은 어음, 수표 및 장표지로의 교환업무를 모두 전자정보교환방식으로 수행함 ▷ 연관검색어 : 어음교환, 전자어음 2. 전자지급..

12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양적완화정책(QE : Quantitative Easing)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중앙은행이 정책금리가 제로 수준에 근접하게 인하(추가적인 정책금리 인하 여지가 없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회복이 당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장기금리 하락을 유도하기 위해 국채 등을 무제한으로 매입하여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중앙은행의 대차대 조표를 확대하는 정책 양적완화정책은 2001년 3월 일본은행이 제로금리 하에서 일본은행 당좌예금잔액을 확대하는 정책을 도입하면서 처음으로 사용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가 실물부문으로 빠르게 확산하면서 주요 선진국의 경기침체가 심화되자 주요국 중앙은행은 전통적 통화정책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인 양적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