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잠재GDP성장률 2

16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잠재GDP성장률 노동이나 자본 등의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였을 때 유지되는 실질GDP의 증가율로서 한 나라 경제의 최대 성장능력을 의미함 잠재GDP는 일정한 잣대로 추계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추정에 사용되는 원칙이나 통계분석기법 등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다는 한계가 있음 잠재GDP는 성장률도 의미가 있지만 그 수준이 실제GDP보다 얼마나 높은가 또는 낮은 가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 실제GDP성장률이 잠재GDP성장률을 상회하더라도 그 수준은 잠재GDP를 하회할 수도 있음 우리나라와 같이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정의에 의한 생산요소의 완전고용으로 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잠재GDP성장률은 경제의 적정 성장 목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하여 거시경제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있어 널리..

1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경영지도비율 금융위원회는 「은행법」 제45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26조 및 「동 시행세칙」 제17조에 의거 금융기관 경영의 건전성 확보를 통한 신용 질서유지 및 예금자보호를 목적으로 BIS자기자본비율, 원화 유동성 비율 등의 경영지도비율을 정하여 운용 경영지도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는 은행에 대하여는 금융위원회가 경영개선 권고, 경영개선 요구 및 경영개선명령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음 2. 경영평가지표 은행경영실태평가 시 이용하는 경영평가지표는 크게 계량지표와 비계량평가항목으로 구분 계량지표 은행 본점(특수은행 포함)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 : 4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13개 지표를 이용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 : 자산건전성 부문 4개 지표를 이용 비계량평가항목 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