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입금이체 4

19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출구전략(exit strategy) 경제 위기 발생 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취하였던 각종 완화 정책을 정상화하는 것 본래 군사전략에서 비롯된 용어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 당시 승산 없는 싸움에서 피해를 최소화하며 군대를 철수할 방안을 모색할 때 사용한 용어 현재는 의미가 확장되어 위기상황을 극복하고자 취했던 조치들의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최소화하며 정상으로 돌아오기 위해 취하는 조치들을 포괄적으로 지칭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와 관련해서는 중앙은행이 위기극복을 위해 이례적으로 취했던 대책(제로금리정책 및 양적완화 등)을 정상화하는 조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 ▷ 연관검색어 : 제로금리정책, 양적완화정책 2. 출금이체(debit transfer) 수취인이 자신이 거래하는 금융기관에 추심을 의뢰하여(..

1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채무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 지급준비금 : 은행이 예금고객의 지급 요구에 응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놓은 유동성 자산 지급준비율 : 적립대상 채무 대비 지급준비금의 비율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있는 자금(지준예치금)과 보유하고 있는 현금(시재금)으로 구성됨 지급준비제도는 1863년 미국에서 예금자보호를 위해 법정지급준비금을 부과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음 1930년대 들어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급준비제도는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단으로 그 위상이 높아짐 1980년대 이후 금융..

15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자금관리서비스(CMS : Cash Management Service) 공동망 CMS 공동망 : 금융기관을 통해 대량의 출금 및 입금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금융결제원이 1996년 8월부터 가동 출금이체 서비스 : 각종 상품 판매대금, 서비스 이용대금, 수업료, 회비 등 납부자가 지정된 각종 수납 대금을 다수의 납부자 예금계좌나 예탁금 계좌에서 출금하여 이용기관의 수납 계좌로 입금시키는 업무로서 지로 자동이체와 유사함 입금이체 서비스 : 각종 상품 구입대금, 배당금, 연금, 급여 등을 이용기관의 지급계좌에서 자금을 인출하여 타 금융기관의 수취인 계좌로 자금을 지급하는 업무로서 지로의 대량 지급과 비슷함 CMS는 각종 사회단체, 학교 및 학원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비교적 저렴..

5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대기성 여수신제도(standing facilities) 대기성 여수신제도는 주요국 중앙은행에서 대출제도로 운용 중앙은행이 차입기관의 자금사정이나 자금용도 등에 대한 제한 없이 단기자금을 제공하되 시장금리보다 높은 벌칙성 금리로 제공하는 담보대출제도 차입은행이 기본적인 자산건전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한 차입수요에 따라 제한 없이 자금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금융기관의 단기 유동성 부족을 해소하는 안전판 기능을 수행 대기성 여신제도 : 단기시장금리는 대기성 여신금리보다 높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대기성 여신금리가 단기시장금리의 상한 기능을 수행 대기성 수신제도 : 중앙은행이 은행의 여유자금을 금액 제한 없이 수신하여 정책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지급하는 제도로서 대기성 수신금리는 단기시장금리의 하한 기능을 수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