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럽연합(EU) 5

23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G20(Group of 20) G7에 속하는 7개국, 신흥시장국 12개국 및 유럽연합을 포함한 20개국의 국제회의체 G7이 1999년 재무장관 ・ 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국제 금융경제 현안에 관한 논의 등 정책협력 대상을 주요 신흥시장국으로 확대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G20 재무장관 ・ 중앙은행총재회의가 개최되기 시작함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G20 정상회의가 처음으로 개최된 후 2011년부터 정례화되면서 G20는 세계경제 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 역할을 하게 됨 금융위기 극복 및 정책 정상화, 포용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체계 구축, 금융규제 개혁, 글로벌 금융안정망 구축, 글로벌 불균형 완화 및 국제금융기구 개편 등에 관한 논의를 진전시키고 있음 G20 회의의 구성 정상회의 재무장관 ・ 중..

14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유럽연합(EU : European Union) 1991년 12월 유럽공동체 12개국 정상이 유럽연합 조약(일명 마스트리흐트 조약)의 체결에 합의 1993년 11월 동 조약이 발효 종전의 유럽공동체(EC : European Communities)를 대신하는 지역공동체로서 1994 년 1월 정식 출범 창설 목적 유럽 내 단일시장 구축 및 단일통화 실현을 통한 유럽의 경제와 사회발전 촉진 공동외교안보정책을 통한 국제무대에서의 유럽의 이익 제고 유럽연합 시민권 제도 도입에 의한 회원국 국민의 권리와 이익 보호 등 회원국 : 1995년 1월 3개국이 추가 가입한 데 이어 동유럽 체제전환국들이 가입하면서 점차 늘어나 2017년 10월 현재 총 28개국 유럽연합의 주요 기구 유럽이사회(European Counc..

14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유동성리스크 거래 일방이 일시적인 자금부족으로 인해 정해진 결제 시점에서 결제 의무를 이행하지 못함에 따라 거래상대방의 자금조달 계획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위험 유동성리스크는 거래 상대방이 지급기일이 지난 이후 채무를 결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거래상대방이 파산하여 채권 회수가 영원히 불가능한 신용리스크와 차이가 있으나 실제로는 그 구별이 쉽지 않음 ▷ 연관검색어 : 신용위험(신용리스크) 2.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 Liquidity Coverage Ratio) 단기 유동성 규제비율로서 은행이 유동성 부족에 대비하여 보유한 고유동성자산 규모를 30일간의 유동성스트레스 시나리오 하에서 예상되는 순현금유출액으로 나눈 비율 LCR의 산식 = 고유동성자산 / 향후 30일간 순현금유출액(현금유출액 ..

9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불태화정책(sterilization policy) 수출입거래나 국경 간 자본유출입 거래는 국내은행을 통해 국내통화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국내통화량이 변동 - 통화량의 변동은 금리와 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불태화정책 해외부문으로부터의 외화유입으로 인해 본원통화가 증가하고 그 결과로 금리나 물가가 중앙은행이 목표한 바와 다르게 변동할 우려가 발생할 경우, 중앙은행이 공개시장 조작이나 지급준비율 조정 등을 통해 본원통화의 증가를 상쇄시키는 정책 불태화정책의 수단은 일반 통화정책과 같지만 그 목적이 해외부문에서 비롯된 통화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 다름 불태화정책은 중앙은행 등의 외환시장 개입과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음 중앙은행이 환율 안정을 위해 외환시장에서 외환을 매입할 ..

7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마샬의 k(Marshallian k) 경제 전체의 명목소득 대비 통화량 보유 비율 어떤 경제에서 일정기간 동안 명목국민소득 : PY 화폐의 유통속도 : V 거래수량설 방정식 : MV = PY 실물거래를 위해 필요한 화폐의 양, 즉 화폐의 수요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도출됨(이 이론은 화폐의 유통속도가 일정함을 전제로 함) 마샬의 k는 화폐 유통속도의 연수와 동일한 값을 갖는 상수에 해당 화폐의 유통속도는 결제 수단의 발전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될 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도 매우 변동이 심하게 나타나므로, 경기가 호황일 때에는 유통속도가 빨라지고 불황일 때는 늦어지는 경기순응적 움직임을 보임 마샬의 k는 아래의 식에 의거 한 나라의 경제규모 대비 통화공급의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