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제GDP 2

23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G20(Group of 20) G7에 속하는 7개국, 신흥시장국 12개국 및 유럽연합을 포함한 20개국의 국제회의체 G7이 1999년 재무장관 ・ 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국제 금융경제 현안에 관한 논의 등 정책협력 대상을 주요 신흥시장국으로 확대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G20 재무장관 ・ 중앙은행총재회의가 개최되기 시작함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G20 정상회의가 처음으로 개최된 후 2011년부터 정례화되면서 G20는 세계경제 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 역할을 하게 됨 금융위기 극복 및 정책 정상화, 포용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체계 구축, 금융규제 개혁, 글로벌 금융안정망 구축, 글로벌 불균형 완화 및 국제금융기구 개편 등에 관한 논의를 진전시키고 있음 G20 회의의 구성 정상회의 재무장관 ・ 중..

16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잠재GDP성장률 노동이나 자본 등의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였을 때 유지되는 실질GDP의 증가율로서 한 나라 경제의 최대 성장능력을 의미함 잠재GDP는 일정한 잣대로 추계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추정에 사용되는 원칙이나 통계분석기법 등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다는 한계가 있음 잠재GDP는 성장률도 의미가 있지만 그 수준이 실제GDP보다 얼마나 높은가 또는 낮은 가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 실제GDP성장률이 잠재GDP성장률을 상회하더라도 그 수준은 잠재GDP를 하회할 수도 있음 우리나라와 같이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정의에 의한 생산요소의 완전고용으로 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잠재GDP성장률은 경제의 적정 성장 목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하여 거시경제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있어 널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