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업률 3

12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실망실업자 구직단념자라고도 하며, 비경제활동인구 중 잠재구직자의 일부분이며 취업 희망과 취업 가능성 기준 외에도 노동시장적 사유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자 중 지난 1년 내 구직 경험이 있는 사람 노동시장적 사유라 함은 다음과 같은 사유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게 경우를 의미함 전공, 경력, 임금 수준, 근로조건 등의 면에서 적당한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 지난 4주간 이전에 구직하여 보았지만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서 교육 · 기술 · 경험 부족 등의 면에서 자격이 부족하여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경우 ▷ 연관검색어 : 고용보조지표, 자발적 실업 2. 실물화폐 / 명목화폐 실물화폐 : 고유의 사용가치 및 교환가치를 가지고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물건 화폐경제 초기에는 각기 그 사..

1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고용보조지표 국제노동기구(ILO) : 노동공급과 노동수요가 일치하지 않아서 일하고 싶은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하고 있지 못하는 노동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를 새로이 확정(2013년 10월) 우리나라 통계청 : 기존의 공식 실업률만으로는 노동시장을 제대로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2014년 11월부터 새로운 고용보조지표를 발표 고용보조지표 : 실업률을 추계하기 위한 공식적인 실업자 이외에 아르바이트 등 단기근로를 하지만 재취업을 원하는 사람(시간 관련), 최근 구직활동을 안 했을 뿐 취업의사가 있고 취업 가능성이 있는 사람(잠재구직자), 그리고 구직노력을 했으나 육아 등으로 당장 일을 시작하지 못하는 사람(잠재취업가능자)등을 포함 잠재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 ..

1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계좌대체 중앙예탁기관에 계좌를 설정한 계좌 설정자간의 유가증권 수수를 실물증권의 인수도 대신 계좌 간 대체하는 방식으로 장부상 처리하는 것 주식 · 채권 등 증권거래의 결과 매도자의 증권을 매수자에게 이전 증권의 이전을 위한 실물증권의 인도 방식은 자본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증권의 대량거래와 잦은 소유자 변동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불가능 대부분의 국가 : 중앙예탁기관의 계좌대체 방식으로 증권의 소유권을 이전 우리나라 : 한국예탁결제원이 계좌 간 대체 방식으로 증권결제를 수행 계좌대체는 예탁자의 개별적 청구 또는 시장 참가자 간의 사전 약정에 따른 결제기관의 청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증권거래에 따른 증권의 소유권 이전을 위해 해당 증권을 교부하도록 함 「자본시장법」에서 예탁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