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산자물가지수(PPI) 3

23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GDP디플레이터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 GDP를 추계할 때는 생산자물가지수(PPI)나 소비자물가지수(CPI)뿐만 아니라 수출입물가지수, 임금 등 각종 가격지수가 종합적으로 활용 GDP디플레이터는 한 나라 경제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집합물이라 할 GDP의 가격을 측정하므로 모든 물가 요인을 포괄하는 가장 종합적인 물가지수임 소비, 투자, 수입 부문별로 명목GDP를 동일 부문의 실질GDP로 나누면 개별 부문에서의 물가지수(예를 들면 소비디플레이터, 투자디플레이터 등)를 얻을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국내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2. Herstatt 리스크 외환결제 과정에 내재된 리스크 중의 하나로서 외환거래 후 매도 통화를 지급하..

10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소비자물가지수(CPI)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표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청에서 작성 기준년을 100으로 하여 작성 조사대상 상품 및 서비스의 구성과 가중치도 경제상황에 맞게 주기적으로 조정 현재는 40여 개 가계의 총소비지출에서 구입 비중이 큰 500여 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 가격을 기준으로 함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일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소득 내지 소비금액의 변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력과 생계비 등의 측정에 사용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은 실질임금의 하락을 의미하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한 임금인상의 기초자료로 널리 이용 ▷ 연관검색어 ..

10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생산세(taxes on production) 현재 국민계정 작성기준인 국민계정체계(SNA)에서의 조세 분류 생산세 : 종전 간접세에 해당 경상세 : 소득 · 부 등에 해당 자본세 생산세의 분류 생산물세(taxes on products) : 생산자가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 배달, 판매, 이전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하였을 때 동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해 부과되는 조세로, 재화의 수입이나 비거주자의 거주자에 대한 서비스 공급 등에 부과되는 수입세 및 관세가 포함 기타 생산세(other taxes on products) : 기업이 생산에 참여한 결과 부과되는 조세 중 생산물세를 제외한 모든 조세로, 주로 생산에 이용된 토지, 고정자산, 노동 또는 특정 거래나 활동에 대한 조세가 포함 2. 생산유발효과 한 ..

반응형